축산&방역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에 매진

축산환경관리원, 지자체‧축산단체 하나로 뭉쳐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에 매진

축산환경관리원, 지자체축산단체 하나로 뭉쳐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장원경)은 가축분뇨 적정처리악취발생 저감 등을 실천하는 축산농가에 대하여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인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사업(2022년까지 5,000호지정) 위해 금년 말까지 1,000호를 지정 하고자 지자체 및 축산관련단체와 함께 농장의 현장확인 및 홍보강화 등을 수행하고 있다. 

관리원은 11 9일부터 중앙상황실(기획평가부 내 4)을 구성 운영하고, 10개 시·(155개 시·)별 금년 말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 목표량1,000호를 달성하기 위한 신청·추진 현황 점검과 지자체 담당자와 농장을 방문하여 홍보리플렛 배포(1,500) 사업 필요성 등을 설명하고 악취 저감 등 평가기준에 따른 지정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특히일부 부진한 지자체에 대하여 시·도 및 시·군의 국·과장 면담을 통하여 사업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지정 후보 농가를 방문하거나 제주도와 같이 30개 농장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직접 지정신청서를 작성하여 지자체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도 및 시·군에서는 담당자를 정하여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당 시·도지부 축산관련단체(한돈·한우·낙농육우·양계협회)와 회의개최 및 지정예상 농가 등을 방문하여 신청방법 및 구비서류 작성 방법 등을 설명하였다.

 

·도별 한돈한우낙농육우양계 협회 지부는 지자체·관리원과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이루어 관내 농장들에게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의 필요성 및 당위성지원혜택(개별처리사업)과 연계사항 등을 전파하고홍보리플렛 전달문자 발송(한우협회 26,000), 교육(낙농육우협회등으로 농가에게 사업 신청을 독려하였다.

11 29일 현재경기 322농가전북 150농가전남 127농가 등 총1,046농가가 신청하였으며앞으로 10개 시·도에서 1,100농가 이상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청이 저조한 충남경북 등에 대하여 담당 국·과장 면담 등 농식품부와 협조하여 참여 독려를 할 계획이다.

 

앞으로 신청농가에 대하여 현장평가표의 채점기준을 토대로 지자체에서 서류심사 및 현장평가를 실시하고 그중 10%를 선정하여 관리원의 검증절차를 거쳐 농식품부에서 최종 지정하게 된다.

현장평가표의 채점기준은 가축분뇨 적정처리악취발생 저감농장의 청결유지와 축산법가축방역법가축분뇨법 적정 이행 여부 등 이다.

 

관리원 장원경 원장은 올해 말까지 1,000호 이상 지정하여 날로 증가하는 악취민원 및 강화되는 법적 기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축산환경 개선을 유도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 "'저지밀크푸딩' 출시...프리미엄 디저트 시장 공략할 것"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국산 저지우유(Jersey Milk)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신제품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출시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디저트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8000억 원에서 지난해 1조 5000억 원으로 10년 만에 약 8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특징인 푸딩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유통업계에서는 일본의 유명 푸딩을 독점 판매하거나 독자적으로 푸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서울우유는 고품질 원유 경쟁력을 앞세워 높은 유지방 함량으로 부드럽고 크리미한 풍미가 일품인 ‘저지우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제품은 서울우유 저지 전용 목장에서 생산한 국산 저지우유를 무려 83% 함유해 우유 본연의 진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특징이다. 일반 우유에 비해 단백질, 칼슘 등 영양소 함유량이 높아 로열 밀크(Royal Milk) 혹은 골든 밀크(Goldn Milk)라고도 불리는 ‘저지우유’는 영국 왕실 전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영국 해협의 저지섬에서 자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