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평창동계올림픽을 환경올림픽으로!

축산환경관리원, 강원지역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작

평창동계올림픽을 환경올림픽으로!

축산환경관리원강원지역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작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장원경)은 내년 2월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이 환경올림픽으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올림픽 시설 인근지역 및 주요 이동경로의 축산농가에 축산환경개선을 위한 강원지역 축산악취저감 가이드라인을 제작·배포한다.

축산악취저감 가이드라인 제작에는 관리원 및 농림축산식품부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강원도청원주지방환경청 등 4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27일 주요 개최지인 강원도 강릉·평창·정선 등 9개 시·군 및 10개 시·도 축산농가에 배포하였다.

 

그동안 관리원에서는 올림픽시설 및 주요 도로망인근 축산농가 48개소에 축산악취저감 컨설팅을 지난 9월 실시하였으며, 10월에는 평창올림픽을 대비하여 축산농가 및 관련기관 담당자가 참여한 가운데 축산환경개선 다짐대회를 개최하여 결의문 낭독 및 축산환경개선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강원지역 축산악취저감 가이드라인 8페이지의 리후렛 형태로 제작하였으며축산농가 악취저감방법 11가지축사관리요령악취저감을 위한 가축분 처리방법 등 축종별로 농가에서 실시 할 수 있는 방안을 자세히 안내하고 있다.

 

우사 관리의 경우겨울철에는 수분 증발효과가 낮으므로 깔짚 교체기간을 짧게 두고톱밥 구입시 건조하여 사용하면 이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돈사 관리의 경우피트 내 슬러리의 신속처리 및 내부벽·바닥 세척요령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관리원은 올림픽 대회기간인 ‘18 3월까지 경기장 주변 악취관리를 위해 현장냄새해결전담반 운영 및 경기장 주변 사전모니터링 실시 등을 통해 지속적인 악취저감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관리원의 장원경 원장은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에서 평창올림픽의 대회비전을 환경올림픽으로 제시한 만큼 대회관람과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 강원도를 찾는 분들이 축산악취 없는 쾌적한 환경에서 대회를 즐길 수 있도록 축산관련종사자 분들의 가이드라인 활용 및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