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전북 남원 ’두곡GP’ 우수농장의 날

두곡GP, 한돈농가 상반기 PSY 29.3두 목표달성 '귀염'

팜스코 전북 남원 두곡GP’ 우수농장의 날 

두곡GP, 한돈농가 상반기 PSY 29.3두 목표달성 귀염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1025일 전라북도 전주 르윈호텔에서 두곡GP 우수농장의 날행사를 개최하여, 한돈농가 및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PSY 29.3두 달성의 비결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최근 다산성 모돈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새로이 도입되는 모돈의 상당수가 다산성 모돈이다. 그러나, 다선성 모돈이 도입되어도 기존과 다른 특징 때문에 기대만큼 모돈 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모돈이 빠르게 도태 되거나, 산자수가 늘어도 폐사가 많아 출하두수는 제자리인 경우 또한 많다.

이런 상황에서 다산성 모돈을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둔 두곡GP의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 

두곡 GP는 다산성 모돈의 도입과 함께 PSY25두 수준에서 30두수준까지 불과 1년 남짓한 기간에 급격히 성장하였다. 프랑스의 다산성 종돈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이 농장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단지 종돈만 수입하여 육성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친 것이 아니라, 다산성 모돈을 위한 사육프로그램과 다산성모돈 전용 사료의 도입을 통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며 성공적으로 다산성 모돈을 정착시킨 것이다.

 

행사를 주관한 신광호 지역부장은 철저한 방역관리와 다산성 모돈 전문 프로그램인 윈맥스30 프로그램의 철저한 준수가 성적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고 강조하면서, 까다로운 다산성 모돈을 관리하기 위한 두곡GP의 세심한 사양관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팜스코 정영철 양돈PM은 우수한 종돈의 도입도 중요하지만 이것을 지속적으로 제대로 육성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한돈산업의 근간이 되는 후보돈을 생산하는 GP종돈장에서 다산성 모돈의 도입에 성공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일반 농가에 좋은 종돈을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은 큰 의미가 있는 일이라며 행사의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여를 인정 받아, 2017년 한국양돈연구회에서 시상하는 한국양돈대상까지 수상한 두곡GP. 김영석 대표는 모돈 30두 키울 때부터 20년 동안 팜스코와 함께해 왔다며, 오랜 시간 한돈산업을 하는데 모든 면에서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준 팜스코에 감사한다며 소감을 이야기하였다.

 

다산성 모돈의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두곡GP와 같은 성공사례들을 벤치마킹해보는 것도 한돈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