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국고 118억 쓴 산림조합 목재펠릿 공장, 애물단지로 전락

황주홍 의원, “화재 빈발 및 고장으로 가동률 41%, 판매 손실 등 무려 10억 넘어”

국고 118억 쓴 산림조합 목재펠릿 공장애물단지로 전락

황주홍 의원, “화재 빈발 및 고장으로 가동률 41%, 판매 손실 등 무려 10억 넘어 

이명박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며 적극적으로 도입했던 목재펠릿 보급사업 5년 만에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목재펠릿 보급사업 800억 원 이상의 예산 낭비와 대기오염이라는 측면에서 MB 4대강 사업의 산림청 버전이라는 평가를 피하기 어렵게 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인 황주홍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말 기준으로 전국 23개 목재펠릿 생산공장의 가동률은 32%에 불과하고네 곳 중 세 곳은 가동률이 절반도 안 되며다섯 곳은 가동을 아예 중단했다목재펠릿 생산공장 지원에 투입된 세금 232억 원이 사실상 허공으로 날아간 셈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상징으로 불리며 세금 100억 원이 투입된 경북 봉화와 강원 화천의 저탄소마을도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경북 봉화군 산림탄소순환마을은 2015 12월 이후 마을회의를 거쳐 목재펠릿 사용을 중단했다보일러의 잦은 고장에다가 목재펠릿 가격 상승과 유가 하락에 따른 경제성 감소가 원인으로 작용했다사정은 강원 화천군도 산림탄소순환마을도 매한가지다산림청이 목재파쇄기를 지원하고화천군이 운반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이미 마을 전체의 절반이 목재펠릿 사용을 중단했다목재펠릿을 장려하기 위해 투입된 100억 원이 매몰된 것이다. 

주택용과 산업용 등 목재펠릿 보일러 지원도 겨우 명맥을 이어가는 수준이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466억 원을 투입해 22,689대의 목재펠릿 보일러가 보급됐지만가정용과 산업용 목재펠릿 사용량은 2014 468,539, 2015 206,033, 2016 372,650톤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산업용 보일러는 수요 감소와 경제성을 이유로 2016년부터 지원을 더 이상 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목재펠릿 보일러는 화재 위험성에도 취약하다. 2012년 이후 원료자체 발화전기 합선배관 마찰건조기 과열 등 특정인의 과실이 아닌 목제펠릿 공장 가동 중에 화재가 9차례나 발생해 피해복구비와 판매 손실이 10억 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산림청이 소방청으로부터 확인한 바에 따르면 화재 발생으로 폐기처분된 목재펠릿 보일러는 총 16대이다이러한 화재 빈발은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우려된다.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목재펠릿은 연이어 국내외에서 난타당하고 있다대기환경분야 국내 대표 학술지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에 올해 8월 발표된 <목재펠릿과 석탄의 단위 발열량에 따른 사회적 비용 비교 분석(강원대 산림경영학과 이영영김준순 교수논문에 따르면목재펠릿의 사회적 비용은 대표치 기준으로 석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무연탄(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탄) 2.8유연탄의 7.6배에 달하는 것으로 연구됐다.

 

올해 2월말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채텀하우스)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며 세계 각국이 보조금까지 쏟아 부으며 목재펠릿 이용을 장려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목재펠릿을 사용하기 위해 벌목하고 어린 나무를 심으면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감사원도 2015년 한국전력 등에 시행한 감사를 통해 우드펠릿은 나무를 베어 만들어 풍력이나 태양광처럼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에 기여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목재펠릿을 친환경에너지라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국내외에서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황주홍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며 적극적으로 펼쳤던 목재펠릿 보급사업은 예산 낭비와 대기오염 물질 배출로 인해 그 실패가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이제는 목재펠릿을 신재생에너지에서 제외해야 한다국고보조금까지 지원하면서 미세먼지를 조장하고 있는 셈이다.”고 질타한 뒤,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국제농업협력 화제!... ‘캄보디아 채소 생산자립’ 씨앗 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캄보디아 몬둘끼리 지역에서 현지 시각 9일 ‘산지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 준공식과‘산지채소연구소’ 개소식을 동시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옹 코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 김원집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서기관, 농림축산식품부 유영숙 주무관, 김우상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 등 양국 관계자 1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산지채소연구소 시설을 소개에 이어, 연구소를 캄보디아 측에 공식적으로 인계하는 서명식 순으로 진행됐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2010년부터‘쌀산업 일관 체계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캄보디아의 식량 주권 확립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10개의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을 진행해 온 바 있다. 이번 ‘산지 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캄보디아의 자체적인 농업 경영을 위한 이정표가 됐다. ◇ 채소 수입국에서 생산국으로...캄보디아의 자급전략 캄보디아는 채소 생산량이 국내 수요에 미치지 못해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 내 채소 생산량 확대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작물생산 농업 분야 발전 마스터플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경농, '노균병, 걱정 뚝'…시금치계의 ‘강철템’!
여름철 농작물 재배를 어렵게 하는 것은 각종 병해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는 작물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내병성 품종을 고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농의 종자 전문 브랜드 동오시드의 여름 전용 시금치 ‘다크그린’과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특히 강해 수확량은 물론 재배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다크그린은 더위에 매우 강해 동오시드가 더운 여름철에 특히 강력 추천하는 시금치다. 극만추대성으로 노균병에 매우 강하며 토양 적응성이 좋고 내습성이 뛰어나 위조병 내병성도 지녔다. 또한 수확기에도 작물이 망가지기 않고 밭에서 잘 버티는 재포성도 훌륭하다. 엽색은 매우 진하고, 모양이 우수하다. 엽면이 잘 서있어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품종이다.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매우 강한 품종이다. 잎의 색이 변하거나 시드는 등 노균병에 따른 피해 우려를 크게 줄인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좋고, 내습성도 훌륭해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재배안정성이 높다. 엽색이 매우 진하고 광택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내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수확 품종으로, 최고의 상품성을 보장한다. 동오시드 관계자는 “두 품종 모두 엽색 등 품질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