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안전계란 생산을 위한 2차 결의대회 가져

김태환 대표, 안전한 계란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자!

농협,안전계란 생산을 위한 2차 결의대회 가져

김태환 대표, 안전한 계란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자! 

농협경제지주(축산경제대표이사 김태환)는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과 관련하여 호남지역 안전한 계란 생산을 위한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생산에서 유통 전 과정에 대한 위생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위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기획하였으며, 지난 23일 경기도 안성에서 열린 1차 대회를 시작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다.

 

금번 호남권 행사에서는 안심계란 협력농가, 한국양계농협 조합원, 농협축산컨설턴트, 농협사료 지역팀장, 중앙본부 임직원 등 약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결의대회에 이어 연암대 김용란 교수의닭진드기의 올바른 구제방법과 전남대 오용관 교수의 농가 식품안전 준수사항에 대한 강의도 이어졌다.

 

농협경제지주 김태환 축산경제대표이사는 농가와 농협 임직원모두가 농장에서부터 전 유통과정에 이르기까지 안전한 계란생산을 위하여 다함께 노력하자고 말하며,“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축산물 생산에 농협이 앞장서 나가자고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