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사진)은 2025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12월 26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지난 23일, 24일 양일간 개최된 임시 대의원회를 통해 2025년도 사업계획과 수지예산안을 검토한 끝에 사업 규모 약 2조 3천억원을 의결했다. 아울러 2025년도 경영목표를 ‘변화와 가치 경영으로 지속가능한 조합 기반 마련’으로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장지배력 확대 및 신성장 동력도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또, 건실한 재무구조 확립과 전문성 향상으로 신용사업 재도약 기반 마련 조합원 실익지원으로 목장 경영 안정 및 낙농산업 경쟁력 제고를 집중 실천하기로 했다. 한편, 이에 앞서 최경천 서울우유협동조합 상임이사는 "서울우유 경쟁력 강화와 국내 낙농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앞으로는 더욱 신선하고 고품질화된 우유생산 기반확보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 상임이사는 "이를 위해 우리 조합원들의 낙농목장들도 A1젖소에서 A2젖소로 생산기반을 바꿔 나가면서 A2우유시장이 빠르게 바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집중인터뷰 다음에 계속 <나남길 kenews.co.kr>
삶의 질과 직결되지만, 섭취량이 크게 부족한 영양소가 있다. 바로 칼슘이다. 특히 칼슘이 중요한 청소년기와 만성질환 위험이 큰 노년기의 칼슘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은 칼슘 권장섭취량(700mg)의 71.7%에 해당하는 542.1mg만 섭취한다. 반대로 인은 권장섭취량의 1.5배로 섭취하고 있어 문제다. 칼슘과 인의 섭취 비율은 1:1이 가장 이상적이며, 칼슘 대비 인 섭취가 많을수록 대퇴골의 골밀도가 떨어진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소개된 연구에서도 6세 이상 한국인 10명 중 7명 이상이 칼슘을 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한다는 점이 나타났다. ◆ 칼슘 부족으로 만성질병 위험에 처하다 부산 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칼슘섭취 실태를 조사한 결과 권장섭취량보다 부족했다. 남학생은 권장섭취량의 69.3~70.7%, 여학생은 61.4~66.3%를 섭취하고 있었다. 문제는 특히 청소년기의 칼슘 부족은 골절이나 골다공증은 물론 여러 만성질병의 위험에 처하게 한다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뼈 건강의 토대를 다지는 중요한 시기다. 가령 여성은 최대골밀도의 40%가 청소년기에 형성된
요즘 핫(hot)한 영양소인 단백질에 대한 바른 정보를 알린다. 건강 정보의 홍수 속에서 소비자에게 신뢰할만한 단백질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유청 단백질 포럼’이 29일 설립된다. 이날 진행된 ‘유청 단백질 포럼’ 창립 기념 온라인 학술 모임에선 이영은 교수ㆍ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동호 교수가 각각 ‘좋은 단백질을 골라 효율적으로 먹는 5가지 요령’, ‘근감소증 위험을 줄이는데 이상적인 단백질’이란 주제로 발표한다. ‘유청 단백질 포럼’엔 영양학계(대한영양사협회 이영은 회장, 대한영양사협회 이애랑 부회장, 한국영양학회 이명숙 회장, 국민대 식품영양학과 장문정 교수,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권오란 교수, 경희대 의학영양학과 박유경 교수, 가천대 식품영양학과 이해정 교수), 의료계(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동호 교수,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 식품학계(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박현진 이사장,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박태균 대표)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단백질 포럼’은 단백질의 질 관련 정보, 최선의 섭취법, 단백질식품 생산과 환경 등 유용한 정보를 네이버의 ‘네이버 포스트’ㆍ‘네이버 블로그’, 다음카카오의 ‘1Boon’ 등 다양한 인터넷 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