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보르도액은 뛰어난 살균 효과를 보이는 친환경 자재로 최근 많은 농업인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석회보르도 제품을 사과와 배 화상병 사용가능 자재 목록에 포함시켜 농업인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경농의 2025년 신제품 펜큐브레는 석회보르도액의 원산지인 프랑스 기업의 수입 완제품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효과가 뛰어나 농업인들의 편의성을 대폭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석회보르도액은 뛰어난 살균 효과를 발휘해 다양한 식물 병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효과적인 친환경 살균제다. 식물의 잎과 줄기에 보호막을 형성해 병원균의 침투를 막아주고, 함유된 구리 이온은 병원균의 포자를 표적으로 해 발아를 억제하며 병원균의 효소 기능을 방해해 성장을 억제하는 등 병해 방제 효과가 뛰어나 많은 농업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생산비용 절감을 위해 직접 제조해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때 각 유효성분들 간 비율과 혼합방법 등을 정확히 알아야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다 이 과정에서 번거로움도 있어 최근에는 전문 농자재 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석회보르도의 혁신적 진화, 펜큐브레 경농의 펜큐브레는 ‘사용이 편리하고 효과도 우수한’ 게 강점
작물보호제는 크게 병원균을 억제하는 살균제, 해충을 잡는 살충제, 잡초를 방제하는 제초제와 함께 작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생장조정제로 나뉜다. 여기에 살비제(응애약), 훈증제, 도포제, 훈연제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한 제품들도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이 중 급변하는 기후로 인해 특히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살균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살균제 ‘잘’ 사용하는 법 8가지> 1. 살균제를 여러 번 살포하는 것보다 병해가 생기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먼저다. 2. 식물병의 원인을 찾아서 적절한 약제를 살포한다. 3. 살균제는 충분한 물량의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보호살균제와 침투성살균제 각각의 특성과 차이를 이해하자. 5. 작물보호제 사용 시 혼용하는 방법과 혼용액 특성을 알아야 한다. 6. 작물별 방제체계를 활용해야 한다. 7. 병해·약해·생리장해를 구분해 적절한 처방을 해야 한다. 8. 살균제 사용 시 작물별 주의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 농약 사용 시 혼용하는 방법과 혼용액 특성을 알아야 한다 농약 관련 업무에 종사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A약제와 B약제가 혼용이 가능한가요?”다. 농약과 농약
최근 발생한 구제역의 확산 속도와 범위가 빨라지면서 정부가 총력 대응에 나선 가운데, 세계 선두 동물용 살균소독제 랑세스 ‘버콘 S(Virkon S)'가 단 30초만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우수한 효능으로 구제역 초기 방역을 위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랑세스 버콘 S는 구제역 세계표준연구소(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가 진행한 효능 시험 결과, 4°C 및 유기물 1% 환경에서 1:200 비율로 물과 희석 사용 시 단 30초만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멸시키며 즉각적인 살균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 승인에 따르면, 랑세스 버콘 S는 4°C 및 유기물 1% 환경에서 1:1300 비율로 물과 희석 사용 시 30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것으로 입증됐다. 소, 돼지, 염소 등 우제류에서 발생하는 구제역은 가축의 체액이나 분뇨뿐 아니라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도 감염되기 때문에 전염성이 매우 높다. 또한, 가축을 수송하는 차량이나 작업복, 농기구 등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만큼 구제역 발생 초기에는 그 어느 때보다 효과적인 방역이 필요하다. 랑세스코리아 기능성 보호 제품 사업부 허준혁 부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