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랑세스 ‘버콘 S’...구제역 '살균소독제' 효과 빨라

- 랑세스코리아 ‘버콘 S’..."구제역 바이러스 30초 만에 살균효과" 소개 추천
- 4°C 및 유기물 1% 환경에서 1:200으로 물에 희석 사용 시 신속하게 구제역 바이러스 살균
- 1:1300 비율 사용시 30분 만에 구제역 바이러스 살균 효능으로 영국 환경식품농무부 승인 획득

최근 발생한 구제역의 확산 속도와 범위가 빨라지면서 정부가 총력 대응에 나선 가운데, 세계 선두 동물용 살균소독제 랑세스 ‘버콘 S(Virkon S)'가 단 30초만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우수한 효능으로 구제역 초기 방역을 위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랑세스 버콘 S는 구제역 세계표준연구소(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가 진행한 효능 시험 결과, 4°C 및 유기물 1% 환경에서 1:200 비율로 물과 희석 사용 시 단 30초만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멸시키며 즉각적인 살균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 승인에 따르면, 랑세스 버콘 S는 4°C 및 유기물 1% 환경에서 1:1300 비율로 물과 희석 사용 시 30분 내에 구제역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것으로 입증됐다.

소, 돼지, 염소 등 우제류에서 발생하는 구제역은 가축의 체액이나 분뇨뿐 아니라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도 감염되기 때문에 전염성이 매우 높다. 또한, 가축을 수송하는 차량이나 작업복, 농기구 등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만큼 구제역 발생 초기에는 그 어느 때보다 효과적인 방역이 필요하다.

랑세스코리아 기능성 보호 제품 사업부 허준혁 부장은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전파력 모두 높기 때문에 신속한 살균 작업이 방역 효과를 높이는 지름길”이라며 “효능이 입증된 살균소독제 활용한 철저한 차단방역이 구제역과 같은 동물감염질병의 확산을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한편, 버콘 S는 강력한 광범위 소독제이자 방역 분야의 선두 제품으로 4˚C 수준의 낮은 기온과 유기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독감 등과 같은 동물감염질병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살균한다. 

 

덕분에 겨울철에 농도나 표면 접촉 시간을 높이지 않고도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살균, 우수한 동물감염질병 차단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버콘S는 국내에서 엘랑코 코리아를 통해 공급된다.

과학적 효능을 바탕으로 개발된 버콘 소독제는 현대 축산업계가 직면한 주요 감염질병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30년 이상 차단방역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뛰어난 효능으로 축산농가가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살균소독제로 선택되어 동물감염질병 예방 및 차단방역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버콘 S는 삼종염 기반의 파우더형 소독제로 물에 희석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