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K-Food Fair 로 미얀마 신흥시장 개척!”

aT, 16~17일 소비자체험행사 및 대형유통업체 판촉 병행 시장공략 나서

“K-Food Fair 로 미얀마 신흥시장 개척!”

aT, 16~17일 소비자체험행사 및 대형유통업체 판촉 병행 시장공략 나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여인홍)는 동남아의 황금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미얀마 신시장 개척을 위하여 K-Food Fair 소비자체험 홍보행사와 미얀마 최대 유통업체 City Mart 연계 한국 농식품 판촉행사 개최 등 대대적인 홍보마케팅을 추진한다.

미얀마는 2011년 문민정부 출범과 서방세계의 경제재제 완화 이후 평균 7% 이상의 고속성장세가 지속되고 있고 인구 56백만명의 큰 내수시장과 구매력을 보유한 중산층의 증가가 뚜렷하게 확대되고 있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매력적인 신흥시장이다.

aT916일과 17일 양일간 미얀마 양곤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인Junction City에서 대규모 K-Food Fair 소비자체험 홍보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국의 제철 신선과일 및 동남아시장에서 인기 있는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K-Food 종합홍보관, 미래클홍보관 등을 마련하여 현지 소비자들이 한국 농식품을 직접 맛보고 체험할 수 있는 시음·시식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아울러, K-Food 셰프와 미스미얀마월드 Khin Yadanar Thein Myint양이 함께 하는 한식 쿠킹클래스, 현지의 한류붐을 활용한 K-POP 커버댄스, 한국의 전통공연, 미얀마 현지 유명가수 초청 공연 등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농식품에 대한 친밀감과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현지 시장 개척 및 소비자대상 홍보행사의 시너지효과 제고를 위해 미얀마 제1위 대형유통업체인 City Mart 계열의 최고급 슈퍼마켓인 Market Place에서 한국산 포도, 복숭아, 음료류, 면류, 소스류 등 다양한 한국 농식품 종합판촉행사(9.19.17)를 동시에 개최한다.

미얀마는 전체 소매유통시장 중 전통시장(Wet Market)이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높지만, City Mart를 중심으로 현대적 대형유통매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이에 aT는 우리 농식품의 안정적인 판로구축을 위하여 2014City Mart와의 MOU체결을 통해 매년 정례적인 한국 농식품 프로모션 행사를 추진하고 있고, 올해 11월에도 추가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백진석 aT 식품수출이사는 일부 국가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는 우리 농식품 수출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신규시장 발굴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가 해결책이라며, “미얀마시장은 개방화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소득 증가에 따라 수입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강성수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