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진청, 10월 10일까지 농업기술 명예의 전당 헌액 대상 후보자 접수

“농업기술 개발․보급에 기여한 유공자를 추천해주세요”

농업기술 개발보급에 기여한 유공자를 추천해주세요

1010일까지 농업기술 명예의 전당 헌액 대상 후보자 접수

 

우리나라 농업기술 개발보급을 통해 농업농촌 발전에 업적을 남긴 유공자를 찾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우리나라 농업농촌 발전과 국민 복리증진에 기여한 공적이 탁월한 개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농업기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대상자를 모집하고 1010일까지 후보자 신청을 받는다. 2015년에 이어 올해 2회째 맞는 이번 선발은 농업연구 개발, 기술보급 및 현장애로 해소, 수출증대 등 농업농촌의 발전과 국민 복리증진에 기여한 공적이 탁월한 개인이나 단체를 기리고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후보자의 자격은 농업과학기술 분야와 관련 있는 공적사적 직위에서 은퇴한 후 10년이 경과한 자 또는 고인(故人)으로, 농촌진흥청 또는 지방농촌진흥기관 등에 재직하였던 자, 농업인, 일반인, 단체(팀 단위) 등 모든 사람이 해당된다. 헌액 대상자로 선정되면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관 농업기술 명예의 전당에 얼굴부조와 함께 업적이 전시된다.


헌액 대상 후보자는 추천 자격을 갖춘 기관 및 단체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헌액 후보대상자로 추대할 사람 또는 신청을 원하는 사람은 신청서류 1부와 관련증빙자료를 농촌진흥청 연구성과관리과로 우편접수하면 된다. 한편, 첫 해인 2015년에는 우리나라 육종 및 원예산업 발전에 공헌한 우장춘 박사와 쌀 자급자족 달성으로 녹색혁명 성취에 공헌한 김인환 박사가 선정된 바 있다.


농촌진흥청 김태헌 연구성과관리과장은 농업기술 명예의 전당이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보급 분야에서 농업농촌 발전 및 국민복리 증진에 기여한 유공자와 그 업적을 기리고 후대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선발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