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전국 131개소 ‘산림조합’ 전국동시선거 분석해 보니?

산림조합, 무투표 38개 조합! 現 조합장 74명 선방! 신임조합장 57명 탄생!

전국 131개소 산림조합전국동시선거 분석해 보니?

무투표 38개 조합! 조합장 74명 선방! 신임조합장 57명 탄생!

 

산림조합 전국 동시조합장 선거에서 선거조합 수는 131조합으로 무투표 38개 조합, 경합 93개 조합이다.

총 당선인은 131명으로 신임 조합장이 57명 새롭게 탄생했다.

현 조합장 당선은 74(무투표 35, 경합 39)이며 신임조합장 당선은 57(무투표 3, 경합 54)이다. 각 지역별 당선자이다.표지역은 무투표 당선지역이다.


서울, 경기, 인천(19)

서울시산림조합 김덕현(63·현 조합장), 가평군산림조합 장기명(66·전 공무원), 고양시산림조합 김보연(66·전 지방의원), 김포시산림조합 양순규(59·현 조합장),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강석오(59·전 지방의원), 시흥지역산림조합 김창열(55·현 조합장), 안성시산림조합 김현치(71·전 조합이사), 양주지역산림조합 윤희구(67·현 조합장), 양평군산림조합 홍순용(53·전 산림조합 전무), 여주시산림조합 이후정(48·전 산림조합 지도상무), 용인시산림조합 이대영(63·전 용인시청 과장), 이천시산림조합석균남(64·현 산림조합장), 파주시산림조합이성렬(60·현 산림조합장), 평택시산림조합 장덕교(60·현 산림조합장), 포천시산림조합 남궁종(60·현 산림조합장),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최만식(57·현 산림조합장), 강화군산림조합 나장기(61·현 평통자문위원), 옹진부천산림조합임승균(73·현 조합장), 인천산림조합최수룡(59·현 조합장)

 

강원(13)

강릉시산림조합 이강록(65·현 산림조합장), 고성군산림조합 김영석(57·현 산림조합장),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김동섭(61·현 산림조합장), 양구군산림조합박성용(61·현 산림조합장), 양양속초산림조합 정용환(65·전 군청과장), 영월군산림조합 김준기(57·전 군청과장), 인제군산림조합 이종욱(64·전 조합직원), 원주시산림조합 조두형(60·전 시청국장), 정선군산림조합 전학규(61·전 조합감사), 철원군산림조합 이양수(51·전 지방의원), 평창군산림조합이봉균(62·현 조합장), 화천군산림조합 신준현(60·전 조합이사), 횡성군산림조합 양재관(52·전 조합전무)

 

충북(9)

단양군산림조합 최인규(59·전 조합전무), 보은군산림조합 박호남(59·현 조합장), 영동군산림조합 한창수(59·전 군청과장), 음성군산림조합 최상욱(62·현 조합장), 옥천군산림조합오갑식(66·현 조합장), 제천산림조합 최순창(64·현 조합장), 진천군산림조합 이원희(60·전 군청과장), 청주산림조합 조명연(58·전 조합상무), 충주산림조합김재수(64·현 조합장)

 

대전, 세종, 충남(13)

대전광역시산림조합홍주의(59·현 조합장), 공주시산림조합 김생연(63·현 조합장), 금산군산림조합길호덕(57·현 조합장), 논산계룡산림조합박충규(65·현 조합장), 당진시산림조합김기만(59·전 시청과장), 보령시산림조합 윤문희(60·현 조합장), 부여군산림조합 정우성(66·전 군청직원), 서산시산림조합 한우섭(59·전 신용상무), 서천군산림조합 고종진(58·전 조합장), 세종특별자치시산림조합박명종(66·현 조합장), 천안시산림조합 오종석(58·현 조합장), 청양군산림조합 명노영(67·임업인), 홍성군산림조합 윤주선(53·전 대의원)

 

전북(12)

고창군산림조합김영건(47·현 조합장), 김제산림조합 함길권(51·전 조합과장), 군산산림조합고석빈(63·현 조합장), 무주군산림조합김대웅(63·현 조합장), 부안군산림조합 오세준(67·전 지방의원), 순창군산림조합 김규청(66·현 조합장), 익산산림조합 김관기(68·전 지방의원), 임실군산림조합 정인준(57·전 지방의원), 완주군산림조합 임필환(54·전 조합상무), 장수군산림조합 김종식(54·전 조합과장), 정읍산림조합김민영(49·현 조합장), 진안군산림조합 전해석(62·전 조합이사)

 

광주, 전남(20)

광주광역시산림조합노한섭(58·현 조합장), 강진군산림조합 남윤택(57·전 조합상무), 고흥군산림조합 류명현(61·전 면장), 광양시산림조합 강대유(71·현 조합장), 곡성군산림조합 김종희(56·현 조합장), 구례군산림조합오영호(63·현 조합장), 나주시산림조합강희식(57·현 조합장), 무안군산림조합정재남(55·현 조합장), 보성군산림조합 이경로(64·전 부읍장), 순천시산림조합 조정록(62·전 공무원), 신안군산림조합 박일용(59·전 시청직원), 여수시산림조합 허채열(70·현 조합장), 영광군산림조합정용재(60·현 조합장), 영암군산림조합 김재성(64·현 조합장), 장성군산림조합 김영일(61·전 조합장), 장흥군산림조합 이장수(64·전 산림계장), 진도군산림조합 허용범(46·전 조합과장), 함평군산림조합이승동(63·현 조합장), 해남군산림조합 박삼영(63·현 조합장), 화순군산림조합 조영길(59·전 지방의원)

 

대구, 경북(22)

대구달성산림조합이석원(69·현 조합장), 경주시산림조합 신용덕(60·전 시청과장), 경산시산림조합 현종국(55·전 조합과장), 고령군산림조합 곽재경(59·전 조합과장), 구미시산림조합 우진석(55·현 조합장), 군위군산림조합최규종(65·현 조합장), 김천시산림조합 백종록(66·현 조합장), 문경시산림조합 최종성(59·전 시청과장), 봉화군산림조합우병문(61·현 조합장), 상주시산림조합 송재엽(58·전 시청과장), 성주군산림조합 이건상(67·전 군청직원), 안동시산림조합 천명석(57·전 조합과장), 영덕군산림조합 박기원(65·현 조합장), 영양군산림조합 김성웅(64·전 이사), 영천시산림조합정기준(72·현 조합장), 영주시산림조합 우성호(60·전 지방의원), 예천군산림조합 천해용(67·현 조합장), 의성군산림조합 이건호(58·전 대의원), 울릉군산림조합 정형원(67·전 조합장), 청도군산림조합 박순열(54·전 조합장), 청송군산림조합 신광희(60·현 조합장), 칠곡군산림조합 이준식(69·현 조합장)

 

부산, 울산, 경남(18)

부산광역시산림조합 황태용(68·현 조합장), 울산광역시산림조합 전주호(64·현 조합장), 고성군산림조합구대진(61·현 조합장), 거제시산림조합 이휘학(63·현 조합장), 거창군산림조합변상기(70·현 조합장), 김해시산림조합 류해율(59·현 조합장), 남해군산림조합 하의원(65·현 조합장), 사천시산림조합 이상규(56·현 조합장), 산청군산림조합김학열(64·현 조합장), 밀양시산림조합 이만우(59·현 조합장), 의령군산림조합 조충규(65·현 조합장), 진주시산림조합 박순철(50·전 조합과장), 창녕군산림조합 하영범(52·현 조합장), 창원시산림조합 유광종(60·현 조합장), 통영산림조합허일용(57·현 조합장), 하동군산림조합 이종수(68·현 조합장), 함안군산림조합이동명(63·현 조합장), 함양군산림조합 정욱상(65·현 조합장), 합천군산림조합 강병문(65·현 조합장)

 

제주(2)

제주시산림조합 김하룡(53·전 조합과장), 서귀포시산림조합 김용범(56·전 대의원) 조합장 등이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