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참다래 후숙용 캡슐형 ‘숙기조절제’ 개발

농기평, 유통기간 중 박스에 내장하는 방식으로 품질향상

참다래는 수확 후 저온 저장 중 후숙에 의해 유통되는 과실로 농가 또는 산지유통센터(APC)에서 온도처리에 의존하여 유통되고 있으나, 불균일한 후숙과 느린 후숙 속도 등으로 신선도 및 영양 성분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등 수확 후 품질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참다래 후숙 촉진을 위해 에틸렌 가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폭발 가능성이 있고 고가의 시설 및 장비 등이 필요하므로 대형 물류센터에서 이용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 소규모 또는 유통기간 중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숙기조절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참다래 캡슐형 숙기조절제 및 비파괴 후숙과 선별 시스템 개발’을 지원한 결과, 참다래 후숙을 위한 캡슐형 숙기조절제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강원대 정천순 교수팀은 “개발된 제품은 2가지 타입으로 후숙이 느린 그린 참다래는 에틸렌 가스, 후숙이 빠른 골드 및 레드 참다래는 1-MCP*를 이용하여 숙기를 조절하고, 유통기간 중 박스에 내장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통이 가능한 캡슐형 숙기조절제를 개발했다”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에는 참다래 후숙을 위해 가스봄베* 형태로 밀폐된 공간에서 에틸렌 가스 또는 1-MCP를 처리하였으나 개발된 캡슐형 숙기조절제를 과일 상자에 넣으면 기화되어 가스가 발생하므로 유통기간 중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하였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금번 개발된 제품을 활용하면 후숙이 느린 그린 참다래는 후숙을 촉진시켜 후숙 기간이 약 50% 단축되며, 후숙이 빠른 골드 및 레드 참다래는 후숙을 지연시켜 저장기간이 30일 정도 연장되므로 소비자들이 먹기 좋은 최적의 상태로 유통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더불어 참다래 장기저장을 위한 박스 내 적용 위치, 적용 수량 등 최적의 캡슐형 숙기조절제 적용 조건을 확립하였고, 현재 농기평 농식품후속지원사업 과제를 지원 받아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참다래 뿐만 아니라 바나나, 토마토, 아보카도 등의 소포장 유통에도 적용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농기평 오병석 원장은 “금번 개발된 제품을 통해 참다래의 수확후 관리기술 미흡으로 인한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제품화되어 실제 유통현장에 적용된다면 신선농식품 유통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