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연세우유' 아산공장 멸균시설 증설로 시장확대 본격화

연세대학교, 최첨단 장비 ‘콤비블록’ 포장기로 설비 교체로 제품에 따른 포장 용량 다양화
김득수 사장, 전처리 설비 라인 증설로 멸균제품 연 생산능력 약 50% 증가 기대

연세대학교 연세우유는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연세우유 아산공장에 상온제품 생산을 위한 멸균시설 증설 공사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시장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제품 생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말부터 멸균시설 설비 증설 공사를 진행해온 연세대학교 연세우유는 올해 초 설치 및 멸균 테스트 기간을 거쳤으며, 지난 20일 멸균시설 증설 가동식 행사와 함께 상업생산에 들어갔다.

 

멸균시설 증설 가동식 행사에는 연세대학교 연세우유‧연세생활건강 김득수 사장 및 임직원을 비롯한 멸균시설 기공 협력업체 SIG콤비블럭코리아 김홍록 상무,  테트라팩 코리아 이희탁 상무, ㈜경원산업 김학남 대표이사, 대교전설㈜ 권용일 대표이사, 금강건설㈜ 안광복 이사, 에스피엑스플로우테크놀로지㈜ 남궁정 이사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으며 테이프 커팅식에 이어 연세우유 아산공장의 생산시설을 견학했다.

 

연세우유는 생산설비를 최첨단 ‘콤비블록(CFA-124)’ 포장기로 교체해 무균패키징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제품에 따른 포장 용량을 다양화했다. 또한 기존 2개 라인으로 운영되던 전처리 설비를 3개 라인으로 증설하여 제품 생산능력(CAPA)도 확장시켰다. 포장기 교체 및 전처리 라인 증설을 통해 연세우유 아산공장의 멸균제품 연 생산능력(CAPA)은 약 50%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학교 연세우유 김득수 사장은 “국내 및 중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서 연세우유 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연세우유 아산공장의 멸균시설 설비를 증설했다”며,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으로 연세우유의 생산 규모가 확대된 만큼 고객 여러분의 성원에 보답할 수 있도록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