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국화 재배지, 바이러스병 옮기는 총채벌레 방제해야없애고 약제 방제해야

끈끈이 트랩 설치, 주변 잡초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가을 국화 재배지에서 바이러스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병을 옮기는 총채벌레 방제를 당부했다. 총채벌레는 1.4∼1.7mm의 매우 작은 해충으로 애벌레와 알은 어린 식물체 조직이나 틈에 주로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발생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애벌레와 어른벌레가 발생 부위를 갉아서 흘러나온 식물체 즙액을 빨아 먹으므로 식물체가 변형돼 생육 장애를 초래한다.

 

총채벌레에 의한 피해도 크지만 지속적으로 바이러스를 옮겨 국화 농가에 더 큰 피해를 준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국화에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CSNV)다. 감염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은 총채벌레 중 67∼80%가 건전 식물체로 바이러스를 옮긴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5년 전부터 국내 채소 및 화훼류에 많이 발병되고 있으며, 국화 품종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감염률은 품종에 따라 10∼70%이며 총채벌레 관리를 소홀히 한 농가에서 발병률이 비교적 높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국화는 초기에 잎에 얼룩무늬와 함께 짙은 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병이 진전되면 식물체의 순부분이 뒤틀어지면서 점차 죽게 된다.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는 주로 꽃노랑총채벌레로 전염되며 시설 주변의 고추나 토마토에 전염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국화는 생육 초기에 건전 국화와 구별하기 어려우나 생육 중·후반에 줄기의 일부분이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잎과 잎자루에 괴사 증상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 시설하우스 내로 외부에서 총채벌레가 유입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차단과 방제가 필요하다. 하우스 입구에 황색 또는 청색 끈끈이 트랩을 설치해 주기적으로 발생을 확인한다. 화학적 방제로는 등록된 서로 다른 계통의 약제를 주기적으로 뿌려 총채벌레의 밀도를 낮추고, 주변 잡초에도 서식하므로 주기적으로 시설하우스 내 잡초를 없애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윤주연 농업연구사는 “국화 재배 시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국화 어린 묘를 사용해야 하며 바이러스를 옮기는 총채벌레의 유입 차단과 방제로 바이러스병 피해 확산을 최소화 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