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유통

'양파' 수급불안 조짐...수확량 4% 줄어들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확량 평년보다 3~4% 감소한 113만6천 톤~115만3천톤 예상
KREI 농업관측본부 "양파 재배면적은 줄었지만 현재까지 작황은 좋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 농업관측본부는 2021년산 중만생종 양파 작황이 좋아 단수(단위당 수확량)는 증가하나,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생산량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관측본부 실측 조사결과(2.3.), 2021년산 중만생종 양파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11% 감소한 15,593ha로 집계되었다.

 


2021년산 중만생종 양파 예상단수는 생육 및 생산량 실측 조사 결과를 고려할 경우, 평년보다 8~9% 증가한 7,288~7,396kg/10a으로 전망된다.
이는 구 비대기인 4~5월 기상여건이 좋아 단위당 수확량이 크게 증가하였던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2021년산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은 예상단수가 증가하나,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평년보다 3~4% 감소한 113만 6천 톤~115만 3천 톤으로 전망된다.
 


국승용 농업관측본부장은 최근 양파 작황이 양호해 공급 과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면적이 평년 대비 11%로 비교적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에 생산량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 및 6월 가격 전망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농업관측본부 홈페이지 양념채소 6월 관측월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 시험 첫 시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6월 9일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제도 도입 전담반’을 발족했다. 현재 행동지도 분야에는 다양한 민간자격(‘22년 59개)이 있으나 각기 다른 기준으로 운영되어, 체계적·객관적인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에 따른 반려견 행동교정(소음·안전사고 등), 입양 전 교육, 기질평가 등 반려동물 관련 정책적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동물보호법 개정을 통해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 제도의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전담반을 구성하였다. 전담반은 송남근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을 팀장으로 학계, 행동지도 전문가, 자격 전문가, 유관 단체 등 20여 명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자격시험 기획, 자격시험 관리·지원, 제도·활용 등 3개 분과로 운영되며, 분과별 과제발굴, 추진방안 마련 및 의견수렴 등 논의를 거쳐 연말까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내년 상반기에 제1회 시험을 시행할 예정이다. 송남근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취득자들이 기질평가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