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계란 잘 섭취하는 5가지 방법은 무엇?

 -파스타에 계란 얹으면 소스 역할
 -강판에 간 계란 샐러드에 올리는 것도 방법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KOFRUM, 미국 건강 전문지 ‘우먼스 헬스’ 소개 

계란을 잘 섭취하는 5가지 방법이 소개됐다. 계란은 코로나 19 극복을 돕는 면역력 증강 영양소인 최고급 단백질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다.

2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의 건강 전문 월간지 ‘우먼스 헬스’(Women‘s Health) 4월호엔 ‘계란을 사용하는 5가지 새로운 방법’(5 New Ways To Use Eggs)이란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계란이 스크램블 같은 아침 식사용 음식으로 뿐 아니라 점심ㆍ저녁 식사와 디저트에도 유용한 식재료란 것이다. 

 첫째, 파스타에 소스 대신 계란을 얹어 먹을 수 있다. 스파게티 위에 ‘서니사이드업’(sunny side up, 한쪽 면만 살짝 익힌 계란 요리)을 올려놓으면 계란 노른자가 흘러 나와 파스타 소스가 된다. 

 

 둘째, 강판에 간 계란을 채소나 샐러드 위에 올린다. 구운 아스파라거스, 녹색 콩, 샐러드 등에 삶은 계란을 강판에 갈아 올리면 풍족한 한 끼 식사가 가능하다. 

 셋째, 계란 흰자를 단 음식(Sweet Treat)으로 바꾼다. 계란 흰자를 설탕과 함께 휘저어 머랭(meringue, 계란 흰자에 설탕을 넣고 거품 낸 것)을 만들어 각종 요리에 사용한다.  

 

 넷째, 브레딩(breading, 음식을 튀기거나 볶기 전에 빵가루를 식품 표면에 묻히는 것)에 활용 가능하다.  계란은 약간 끈적끈적한 느낌이 있으므로 빵가루나 썬 견과류를 치킨ㆍ생선ㆍ채소 등에 튀김옷을 입히는 데 유용하다. 

 

 다섯째, 육수(broth)의 식감을 올리는 데도 효과적이다. 끓고 있는 육수에 거품을 낸 계란을 첨가하면 좋다. 그리스인이 선호하는 ‘아브골레모노’(avgolemono, 주 재료인 치킨 스톡과 계란 노른자ㆍ레몬주스를 이용해 만든 수프)가 좋은 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