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하림 푸디버디, ‘매일매일 색다른 맛에 눈뜨다’

- 푸디버디 대표 캐릭터 팬더와 어린이들이 함께 선보여
- 라면 제품의 다양한 색상과 맛에 대한 남다른 진정성을 ‘색다른’이라는 이중적 의미 활용
- 바람맞은 건면댄스, 푸디버디송, 눈이 ‘띠용’ 커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로 유쾌한 재미 선사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가 새로운 TVCF를 지난 1일 공개했다.
이번 PR은 한결 더 풍성해진 푸디버디 라면 라인업을 반영하여 ‘매일매일 색다른 맛에 눈뜨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빨강, 하양, 까망, 노랑 등 푸디버디 라면 제품의 다양한 색상과 푸디버디의 맛에 대한 남다른 진정성을 ‘색다른’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활용해 푸디버디 제품 특성 및 퀄리티가 차원이 다르다는 점을 표현했다.

 

CF에서는 푸디버디 대표 캐릭터인 판디(팬더)가 사라진 줄 알았으나 ‘우리집에 있띠~용’이라는 멘트와 함께 집에서 깜짝 등장한다. 이는 푸디버디가 대표적인 어린이 가정간편식 브랜드로 아이들의 일상 속에서 언제나 함께하게 된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중독성 있는 로고송과 푸디버디의 라면을 먹으며 ‘눈이 띠용’ 커지는 애니메이션 연출 효과가 어우러져 시각적으로도 흥겨운 느낌을 준다. 음악에 맞춰 판디와 어린이들이 함께 추는 ‘바람 맞은 건면 댄스’ 역시 유쾌한 재미를 선사한다.

 

푸디버디는 2023년 론칭 이후 꾸준히 TV 홍보를 집행해 오고 있으며, 중독성 있는 로고송과 띠용챌린지, 판디(팬더)와 몽이(원숭이) 등 동물 캐릭터 연출 등으로 방영 초기부터 어린이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바 있다.

 

자사에서 실시한 푸디버디 브랜드 관련 소비자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푸디버디 구매자의 46.2%가 ‘TV 홍보를 통해 푸디버디를 알게 되었다’고 응답해 브랜드 인지단계와 실제 구매단계에서 TV 홍보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광고 속 동물 캐릭터와 ‘푸디버디~용’ 로고송 등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며 푸디버디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어린이를 잘 아는’ 이미지로 각인된 것으로 조사됐다.

 

푸디버디 관계자는 “푸디버디가 신규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 내 어린이식 대표 브랜드로 각인되는데 CF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25년도 역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물 캐릭터와 중독성 있는 로고송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신규 콘텐츠를 만들어냈다. 더 귀여워진 판디와 새롭게 선보이는 ‘바람 맞은 건면 댄스’도 많은 사랑을 받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푸디버디는 미식가 엄마와 딸 바보 아빠가 직접 제품 기획부터 참여하고, 영양 전문가가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에 맞춰 영양학적으로 설계한 어린이식 브랜드다. 합성 첨가물 없이 가장 신선한 자연 식재료로 최고의 맛을 내는 하림의 식품 철학을 바탕으로 즉석밥, 라면, 튀김요리, 국물요리, 볶음밥, 덮밥소스, 상온반찬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압박 규탄"... 농민들 반발 먹혔나?
전국한우협회(회장 민경천)는 7월 30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측이 30개월령 이상 쇠고기 수입을 압박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한우협회는 “이번 미국의 협상태도는 상호주의가 아닌 일방적·강압적 압력”이라며, “30개월령 쇠고기 수입을 강행하려는 시도는 검역주권을 침해하는 불공정 협상으로,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경천 전국한우협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 한미 FTA는 사실상 무력화됐고, 내년부터 적용될 관세 0%도 휴지조각이 된 것이다”라며 “이번 한미관세협상으로 산업계에 적용될 관세율만큼 미국산 쇠고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 세계에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며, “자국 농업을 소홀히 한 대가는 결국 우리 후세가 짊어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규탄 발언에 나선 한양수 부회장은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지금까지, 농업은 항상 통상 협상의 희생양이 되어 왔다”며, “FTA 체결국이 59개국으로 늘어난 지금도 농축산물이 가장 먼저 협상 테이블에 올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