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 온라인 한우장터 개최

10월 28일(월)~11월 1일(금) ‘한우자조금 온라인 한우장터’ 운영...최대 50% 할인 판매
한우 육포 포함, 가공품 및 부산물 등 특별가에 판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오는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맞아 온 국민이 우리 한우를 즐길 수 있도록 10월 28일부터 11월 1일까지 5일간 ‘2024년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 맞이 온라인 한우장터’를 운영한다.


온라인 한우장터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로 유통 단계를 축소해 소비자들이 고품질 한우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를 통해 한우 농가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한우 소비 촉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맞아 열리는 이번 온라인 한우장터에서는 1++등급부터 1등급까지의 한우 구이류(등심·채끝)와 정육류(불고기·국거리·사태), 양지를 포함해 한우 간편식과 부산물까지 대형마트 정상가 대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행사에 참여하는 브랜드로는 강원한우(강원), 경북대구한우 한우왕(경북), 녹색한우(전남), 대관령한우(강원), 안동봉화축협한우(경북), 영풍축산(경북), 우리한우365(경북), 의성마늘소(경북), 장수한우(전북), 지리산순한한우(전남), 총체보리한우(전북), 참품한우(경북), 토바우(충남), 홍천한우(강원), 서경한우(경기), 소깨비(경북), 신선설한우(경기) 등이 있다.


1등급 한우의 경우 100g 기준으로 등심은 8,150원, 채끝은 9,140원, 불고기·국거리는 2,820원, 양지는 3,710원으로 저렴하게 판매된다. 미경산 한우는 1등급 100g 기준, 등심 8,740원, 채끝 9,770원, 불고기·국거리 2,800원, 양지 3,900원이다. 등급별 세부 가격은 ‘온라인 한우장터’ 홈페이지(온라인한우장터.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언양식 불고기와 한우 떡갈비, 도가니탕 같은 간편식 뿐만 아니라, 곱창, 대창, 막창, 염통 등 다양한 한우 부산물도 특별가로 만나볼 수 있다. (업체별 상이)


이동활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은 “이번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맞아, 한우 농가의 어려움을 덜고 소비자에게 고품질 한우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상생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며, “전국적으로 한우 소비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온라인 한우장터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전국 농축협 매장과 대형마트, 한우영농조합법인 등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몰에서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 맞이 대규모 한우 할인 판매 행사가 진행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