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신기술

고구마 '무병묘' 신청...11월 30일까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바이러스 감염없는 모종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 사전수요 조사 접수 중
- 안호근 원장 “씨 고구마 수요 충족과 함께 국산 고구마 보급 확대에도 기여하겠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2024년 고구마 무병묘 생산·보급을 위해 플러그묘(포트묘)에 대한 사전수요 조사를 진행한다.

사전수요조사 기간은 11월 6일∼30일까지로 4주간 거주지 내의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농진원은 국산 품종에 대해서만 보급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소담미’, ‘진율미’, ‘호감미’, ‘호풍미’ 4품종이 그 대상이다.

 

 

‘소담미’는 꿀고구마 품종으로, 단맛이 강하고 식미가 우수하다. 2020년 등록된 신품종으로 ‘베니하루까’ 대체가 가능하다.

 

‘진율미’는 밤고구마 품종으로, 수량성이 좋고 조기 수확이 가능하며, 저장성도 좋아 국내 밤고구마 점유율 1위이다.

‘호감미’는 호박고구마 품종으로, 식감이 부드럽고 장기 저장이 가능하여 국내 호박고구마 점유율 1위이다.

 

 

‘호풍미’도 호박고구마 종류로, 당도가 높고 말랭이 가공성이 우수하며 덩굴쪼김병 등 병충해에 강하다. 2021년 신규 품종이고 ‘안노베니 대체’품종으로 이용 가능하다.

무병 플러그묘 단가는 850원/주이고, 품종별 최소 신청단위는 100주이다.

고구마 플러그묘의 공급(예정)시기는 2024년 1월 29일부터 3월 8일까지이다.

 

5월에 사용되는 고구마 종순의 사전 수요조사는 2024년 2월에 진행할 예정이다.

농가에서는 반드시 품종 특성을 참고하여 수요에 맞게 플러그묘를 신청해야 한다.

또한 고구마 묘를 자체 삽목·증식할 수 있는 시설이 가능한지를 확인 바란다.

 

농진원은 2010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우수한 고구마 품종들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생산·보급하여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고구마 무병묘란 조직배양기술을 적용하여 수량과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8종 바이러스를 제거한 배양묘이다.

 

 

바이러스병에 감염되면 다음 세대로 병이 이어지며, 단일감염은 10∼20%, 복합감염은 최대 80%까지 피해가 발생한다.

 

현재 국내 고구마 생산지에는 단일감염보다는 2종 이상의 복합감염이 훨씬 많으며 최대 5종 바이러스 복합감염도 보고되고 있다.

 

고구마 바이러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진딧물, 담배가루이 등 전염원 방제 및 차단에도 신경써야 하지만, 특히 안전한 바이러스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진원 안호근 원장은 “국산 고구마 무병묘 공급 확대를 통해 바이러스병 걱정 없는 씨고구마 생산에 대한 농가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국산 고구마 보급률 확대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