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경연 "'마늘값 생산감소로 상승 전망”

- 농업관측센터, 생산량 전년보다 8% 증가하나, 평년보다 6% 감소한 31만 4천 톤 내외 예상
- 현재 낮게 거래되던 마늘 주산단지 밭 포전거래 가격도 상승 분위기 형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 농업관측센터는 2023년산 마늘 생산량이 전년보다 8% 증가하나, 평년보다 6% 감소한 31만 4천 톤 내외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평년 대비 면적과 단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농업관측센터의 표본농가 실측 조사 결과(2월 15일 기준), 2023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4% 감소한 24,629ha로 집계되었으며, 예상단수(6월 1일 기준)는 평년보다 2% 감소한 1,275kg/10a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월(5월 1일 기준) 전망치 대비 4% 내외 감소한 수치로 마늘 구비대기인 4~5월의 저온과 잦은 강우로 생육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현재 한지형 마늘 일부 주산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수확이 마무리되었으며, 농업관측센터의 생산량 실측 결과를 반영할 경우, 2023년 마늘 단수는 현재 전망치(1,275kg/10a)보다 더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깐마늘 도매가격은 현재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3년산 햇마늘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7월에는 평년보다 생산량이 감소해 도매가격은 현재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낮게 거래되던 포전거래 가격도 상승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마늘 생산량 및 7월 가격 전망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농업관측센터 홈페이지의 양념채소 7월 관측월보(6월 30일 발간 예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