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협, 찾아가는 ‘이동형 디지털 점포’ NH태블릿브랜치

- 조합원 출자금 및 면세유 조회기능까지 영농 현장에서 바로 바로
- 상호금융, 조합원실태조사 기능 선보이며 금융-비금융 통합 서비스 확대

농협(회장 이성희) 상호금융은 태블릿PC를 통한 조합원실태조사 기능을 개발하여 17일 인천 남동구 남동농협(조합장 한윤우)에서 조합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시연을 진행했다.

이번 서비스 개발로 농·축협은 조합원실태조사 현지조사 시 태블릿을 통해 실태조사 정보를 바로 등록할 수 있게 되어 수기 기록에 따른 직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보다 정확한 조사 업무 수행이 가능해졌다.

 


농협의 태블릿브랜치는 태블릿PC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고객을 직접 찾아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디지털 점포’ 서비스로서 계좌 신규개설, 여신 상담, 카드 신청 등의 일반적 금융업무에 더해 조합원들을 위한 출자금 및 면세유 대상자 조회 등의 기능까지 업무 범위를 넓혀, 농번기 조합원도 영농 현장에서 바로 주요 업무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조소행 상호금융대표이사는 “태블릿브랜치를 통해 영업점에 방문하기 어려운 고객도 어디에서나 필요한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NH태블릿브랜치는 농업인 조합원과 고객을 위한 금융·비금융 통합 서비스로 도약하여 디지털 혁신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질병검사 한 번으로 복숭아 병 5개 찾아
국립종자원(원장 양주필)은 지난 5년간(’20~’24) 수행한 ‘과수 무병묘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한 번의 진단으로 5종의 복숭아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유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복숭아 나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생육 불량과 기형과 발생으로 과실의 품질이 저하되어 극심한 피해를 유발한다. 이를 극복하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무병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번에 국립종자원이 개발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기반의 진단기술은 단 한 번의 검사로 복숭아 주요 병원체 5개를 동시에 진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1/5로 줄여 검사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본 기술을 활용하면 복숭아 무병묘 생산부터 과수원의 수확 현장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고 제거함으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국립종자원은 이번에 획득한 특허기술을 관련기관과 민간에 이전하여 농업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적극행정에 앞장설 계획이다. 국립종자원 양주필 원장은 “이상기후로 인한 재배환경의 급격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