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잡초없는 ‘논둑’ 지금부터 관리해야

농촌진흥청, 제초제로 손쉬운 논둑 잡초 관리법 소개

잡초없는 논둑지금부터 관리해야

농촌진흥청제초제로 손쉬운 논둑 잡초 관리법 소개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겨울철 논둑에 제초제를 뿌려 미리 잡초를 제거하는 손쉬운 잡초 관리법을 소개했다.

논둑이나 수로에 발생한 잡초는 관개수로를 통해 논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사전 예방 차원에서 논둑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논둑에는 85종의 잡초가 발생하며이 잡초들은 병해충의 서식지가 되거나 농작업 시 불편하고 벼의 생육을 방해하는 등 문제가 있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논둑의 잔디 싹이 나오기 전인 2월 말까지 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를 뿌리면 5월 하순까지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이 제초제를 쓸 경우 45회 하던 논둑 잡초 제거를 연 23회로50% 가량 줄일 수 있어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월 하순 이후 발생하는 잡초는 예초기나 경엽처리형 비선택성 제초제를 사용해 제거한다친환경재배논의 경우 논 안으로 제초제가 닿지 않도록 논둑에만 뿌리면 안전하다.

제초제를 뿌릴 때 잡초가 많이 올라와 있으며 예취 후에 약제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제초제는 농협 농자재판매부 또는 시중 농약판매업소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사용 후 남은 제초제는 다음에 사용하기 위해 밀봉해 농약임을 알리는 표기를 하고 서늘한 곳에 별도 보관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이인용 농업연구관은 이미 등록된 제초제라도 논둑에 잡초 싹이 나온 이후 처리하면 잡초 방제 효과가 낮다.”, “잡초 싹이 나기 전에 처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