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농촌노인 '기초노령연금' 만족도 떨어져, 노인복지 서비스 체계에 대해 농촌은 10명 중 4명만 알고 있어

도시 53.7%에 비해 농어촌 38.9%에 불과

농촌진흥청이 조사한 2013년 농어업인 복지실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해 농어촌에서는 10명중 4명 정도만 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어 인지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비해서도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노인복지 서비스(치매검진치료 관리비 지원사업, 안검진 및 안수술 지원사업, 의치지원사업, 기초노령연금,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노인돌봄 종합 서비스)에 대해 농어촌의 인지도는 평균 38.9%였으며 도시의 경우 53.7%였다.

노인복지 서비스 중 기초노령연금에 대한 인지도는 농어촌이 67.2%, 도시가 89.1%로 도시에 비해 농어촌이 12% 정도나 인지도가 낮았다. 안(眼)검진 및 안수술 지원사업의 경우 농어촌(29.3%)과 도시(36.2%) 모두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노인복지 서비스 경험률의 경우 인지도와는 반대로 농어촌(17.9%)이 도시(14.4%)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도시에 비해 복지시설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서비스 중 가장 높은 경험률과 인지도를 보인 것은 농어촌(67.3%)과 도시(52.8%) 모두 기초노령연금이었다.

하지만 노인복지 서비스 경험 층의 이용만족도는 농어촌의 경우 평균 65점, 도시 71점을 기록해 서비스 이용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 인지도가 가장 높은 서비스는 농어촌과 도시 각각 72.5점과 86.0점을 기록한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였다

인지도와 경험률이 높았던 기초노령연금의 경우 농어촌과 도시 지역 모두 만족도 부분에서 최하위 점수를 받았다. 이는 기초노령연금의 수혜범위와 지급금액의 현실성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외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질병 ‘예방’ 및 ‘치료’(20.1%) 서비스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방문가정간호 또는 간병서비스’(12.5%), ‘가정봉사 서비스’(9.7%), ‘교통수단 지원’(8.8%), ‘노인일자리 지원’(4.9%) 순이었다.

이에 대해 박민수 의원은 “다양한 노인복지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그 서비스를 농어촌에서 알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어떠한 서비스가 있고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노인복지예산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업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 5월 30일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5월 30일 14시, 서울LW컨벤션(서울역점)에서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자체 및 관련기관 담당자,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효성 있는 디자인 공모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어업위 농어촌분과위원인 서울대학교 손용훈 교수의 진행으로 농산어촌 디자인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 가이드라인, 우수 사례 등을 소개한다. 지자체가 이를 실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공모전 참여와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산어촌 공간 조성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의 참여 절차와 심사 기준, 사례 적용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공모전 신청접수는 6월 10일부터 7월 21일까지이며, 농산어촌다움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산어촌 디자인 우수사례 총 10점을 선발하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상을 수여한다. 농어업위 장태평 위원장은 “농산어촌 디자인은 단순한 경관 개선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