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요오드 섭취 너무 적어도 탈, 너무 많아도 탈!

해조류 즐겨 먹는 사람, 요오드 섭취 과잉 위험
한국 성인의 전체 요오드 섭취량에서 해조류 점유율 절반 이상

해조류를 즐겨 먹는 사람은 요오드 섭취 과잉, 해조류를 먹지 않는 사람은 요오드 섭취 부족을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 성인의 전체 요오드 섭취량에서 해조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이상이었다.

 

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송윤주 교수팀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927명을 대상으로 요오드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영양학회가 발간하는 ‘영양과 건강 저널’(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국내 성인의 하루 요오드 섭취량은 352㎍이었다. 성별론 남성의 요오드 섭취량(401㎍)이 여성(389㎍)보다 약간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한국 성인의 전체 요오드 섭취량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식품은 해조류(55.7%)로 절반 이상이었다. 다음은 절임 채소류(16.0%)·우유와 유제품류(6.9%)였다. 이와는 달리 서양인의 주된 요오드 공급식품은 우유와 유제품이다.

 

평소 해조류를 즐겨 섭취하는 사람의 하루 요오드 섭취량은 496㎍으로, 해조류를 멀리 하는 사람(241)㎍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해조류를 섭취하지 않는 사람 중 요오드를 하루 필요량(95㎍)보다 적게 먹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 8.8%, 여성 8.1%에 달했다.

 

반대로 해조류를 즐겨 먹는 사람 중 요오드를 하루 상한섭취량 (2,400㎍) 초과 섭취하는 비율은 남성 8.0%, 여성 6.3%로 나타났다.

 

송 교수팀은 논문에서 “해조류가 한국인의 주요한 요오드 공급 식품이었으며, 해조류 섭취 시 요오드 섭취 과잉, 해조류 미(未)섭취 시 요오드 섭취의 부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지적했다.

 

요오드 섭취는 너무 적어도 탈, 너무 많아도 탈이다. 적정 섭취량을 벗어나면 갑상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7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보건부는 한국계 산모가 미역국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경고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