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아이쿱 '자연드림' 소비자가 뽑은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암 예방 식품 부문서 브랜드 대상 수상 영예 
- 소비자와 전문가 그룹의 브랜드 평가로 결정  

 

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회장 김정희, 이하 아이쿱생협)은 치유를 위한 물품 및 서비스 브랜드인 자연드림이 (사)한국방송신문연합회에서 주최한 ‘2022 소비자가 뽑은 올해의 브랜드 대상’을 ‘암 예방 식품’ 부문으로 수상했다. 

 자연드림은 친환경 유기농산물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탄소치유농업’을 개발하였다. 해양심층수의 이온미네랄을 활용하여 토양미생물을 풍부하게 만드는 탄소치유농업으로 재배한 자연드림 HF채소⸱과일은, 타사의 무농약(수기재배), 유기재배보다 파이토케미컬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파이토케미컬과 미네랄은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가 지정한 ‘국민 암예방 수칙 실천지침’ 에 나와 있는 암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요소이다. 특히 ‘파이토케미컬’의 경우 신체 내에서 향산화 작용, 해독작용, 면역기능 증진, 호르몬 역할 조절 및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죽이는 작용을 한다. 

 아이쿱자연드림은 개인과 사회의 건강을 추구하고 지속가능한 식품을 소비자가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에서 ‘암예방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암 예방 식품 정보 표시를 요청하는 대국민 200만 서명 캠페인은,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주요한 물질 ‘파이토케미컬’의 식품 정보 표시를 요구한다.

 

 식품을 활용한 보건적 가치 활동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아이쿱생협 김정희 회장은 “아이쿱생협은 안전한 먹거리 뿐 아니라 식품의 진정성을 가지고 사업과 활동을 펼쳐왔다”며 “앞으로도 나와 이웃을 위한 힐링, 지구를 위한 쿨링을 추구하며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