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수경재배 노하우?...‘묘삼’ 저장법 개발!

기존 3~4개월에서 최소 7~12개월 이상 장기저장 가능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수경재배 인삼을 연중 생산하기 위해 건강한 묘삼이 항상 필요한데 이 묘삼을 장기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고려인삼은 약용으로서 4∼6년근뿐만 아니라 그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져 시설 내 수경재배 인삼이 쌈채소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수경인삼 재배를 위해 묘삼이 필요한데, 기존 저장방법으로는 묘삼자체에 전분이 많아 썩기 쉬워 3∼4개월 정도만 저장돼 장기 저장이 어려웠다.

농촌진흥청 인삼과에서는 부패 방지도 가능하면서 출아율을 높일 수 있는 묘삼 장기 저장방법을 개발해 앞으로 인삼을 연중 생산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게 됐다.

저장방법은 우선 스티로폼 상자를 눕힌 후 입자크기가 1∼3㎜인 마사토(수분함량 60∼80%)를 상자 안에 깔고 묘삼을 수직으로 세워 넣는다. 이때 묘삼의 머리(뇌두) 부분이 스티로폼 상자의 밖을 향하도록 한다. 묘삼을 넣은 윗부분에 다시 마사토와 묘삼을 반복해 까는 방식으로 묘삼을 가득히 채워 넣은 후 스티로폼 상자를 원상태로 놓고 묘삼이 보이지 않도록 마사토로 덮어주면 된다. 마사토는 물 빠짐이 좋고 유기물이 포함돼 있지 않아 균의 서식이 어렵기 때문에 묘삼의 장기저장에 따른 부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사토와 묘삼으로 가득 찬 스티로폼 상자는 저장고에서 토양이 어는점 이하로 어는 상태(-2∼-3℃)로 보관하다가 심기 2주 전부터 냉장상태로 온도를 점차 높여줘야 한다. 갑작스런 보관온도 상승은 묘삼조직의 파괴를 가져와 부패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출아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묘삼을 보관할 경우 최소 7개월∼1년 이상 저장이 가능하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묘삼 장기저장기술을 특허출원했으며 빠르게 보급하기 위해 수경재배 업체에 기술이전을 실시했다.

농촌진흥청 인삼과 장인배 연구사는 “묘삼을 기존에 비해 장기간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인삼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때에 맞춰 재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라고 전했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