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종별 평가 껑충 뛰었다!

등급판정 분석결과, 소 10% 늘고-돼지 14%-닭고기 17%까지 급성장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허 영)은 2013년도에 소 1,069천두, 돼지 16,108천두, 닭고기 77,766천수, 계란 858,048천개, 오리고기 6,116천수를 등급판정 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소 판정두수는 1,069,459두로 전년 967,574두 대비 101,885두(10.5%) 증가했으며 돼지 판정두수는 16,107,821두로 전년 14,018,093두 대비 2,089,728두(14.9%) 증가했다.

닭고기는 77,765,959수로 전년대비 17.2% 상승했고 계란은 858,048,113개로 전년대비 20.3% 상승했다.

소 등급판정두수는 1,069,459두로 2000년 이후 가장 많았다.

품종별로는 한우가 959,751두로 89.7%, 젖소는 45,585두로 4.3%, 육우는 64,123두로 6.0%로 나타났다.

소 전체 판정두수 중 한우의 비율은 '04년 56.2%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13년 89.7%로 33.5%P 증가했다.

한우 판정두수는 암컷 510,584두(53.2%), 수컷 27,703두(2.9%), 거세 421,464두(43.9%)로 분석됐다.

한우거세 1+등급 이상 출현율이 높게 나타난 시·도는 전남(52.1%), 전북(50.5%), 경기(50.1%) 순이며 전국 시·도 평균 출하 24,000두 이상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전체 시·군에서는 경기 고양시(63.3%), 전북 정읍시(63.1%), 전남 영암군(6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우 전체 1+등급 이상 출현율 30.2%로 전년 대비 0.7%P 증가했다.

평균 도체중량은 366.7kg으로 전년대비 1.7kg 증가, 등지방두께는 11.9㎜, 등심단면적은 83.3㎠, 근내지방도는 No.4.4로 분석됐다.

한우 거세 1+등급 이상 출현율 49.8%로 전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평균 도체중량은 419.7kg으로 전년대비 3kg 증가, 등지방두께는 12.7㎜, 등심단면적은 89.5㎠, 근내지방도는 No.5.5로 분석됐다.

돼지 평균 도체중량은 87.4kg로 전년대비 0.7kg 감소하였고, 육질등급 출현율은 1+등급 28.1%, 1등급 35.5%, 2등급 32.5% 출현했다.

계란 등급판정 결과 1+등급 91.7%, 1등급 8.2%, 2등급 0.1% 출현했으며 닭고기 등급판정 결과 1+등급 9.6%, 1등급 84.1%, 2등급 6.3% 출현했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농협, ‘아침밥으로 건강한 여름방학! 밥모닝 캠페인!’
농협 서울본부(본부장 맹석인)는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서울 지역아동센터 아침돌봄 어린이에게 여름방학 기간 아침밥을 제공하는 아침밥으로 건강한 여름방학! 밥모닝 캠페인!을 7월 28일부터 한 달 간 실시한다. 이번 캠페인은 아침돌봄 수요가 많아지는 여름방학 기간에 학생들의 조식 결식을 예방하고 아침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추진하며, 서울지역아동센터협의회(회장 김은영) 회원 중 참여를 희망한 8개 센터 11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서울농협은 참여센터에 참기름간장계란밥, 야채죽 등 학생들이 선호하는 아침 간편식과 한우미역국, 어린이김치, 쌀과자 등 반찬 및 쌀 간식을 지원하고, 각 센터는 여름방학 한 달 간 아침돌봄 어린이에게 주 2회 아침밥을 제공한다. 캠페인 첫 날을 맞이하여 맹석인 본부장과 직원들은 은평구 은광지역아동센터(센터장 김명자)에서 직접 아침밥을 준비하여 배식하고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함께 홍보했다. 서울농협 맹석인 본부장은 “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이 든든한 아침밥으로 더위에 지치지 않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길 바란다.”며 “서울농협은 앞으로도 아침밥과 함께 하루를 시작하는 건강한 식습관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촌공사, '극한폭우' 선제대응으로 2차 피해 예방 눈길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기록적인 호우에도 불구하고 ‘사전 대비’와 ‘선제 대응’으로 저수지 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월류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는 등 재난 대응에 총력을 다했다고 밝혔다. 공사는 이번 호우에 앞서 저수지에 대한 정기 안전 점검과 호우 대비 사전점검을 진행했으며, 저수지 물넘이에 사전 방류 시설을 설치해 집중 호우 등을 앞두고 수위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집중 호우 시 저수지에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류 공간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 홍수기에 저수지별 적정한 관리 수위를 유지하면서, 집중호우가 예보될 때 저수지 물을 추가로 방류해 수위를 조절했다. 이러한 조치로 공사는 집중호우 전 평균 저수율을 58.8% 수준으로 관리하여 약 12억 톤 규모의 저류 공간을 확보했으며, 극한 호우 기간 중 한 건의 월류·붕괴 사고 없이 저수지 기능을 유지했다. 공사는 집중호우 기간 동안 저수지에 설치된 수위 계측기와 CCTV 등을 활용해 저수지 수위와 시설 상태를 상시 점검해 위험 요소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감시했다. 또한 자동 알림체계를 준비해 저수위가 기준치를 초과한 저수지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