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금원, ‘미래혁신성장펀드’와 ‘수산유통펀드’ 첫 결성 기대

- 농업정책보험금융원, 1차 출자사업 운용사 선정... 8개 조합, 1,298억원 이상 규모로 추진
- 서해동 농금원장 “앞으로도 농림수산분야에 다각적인 투자 활성화가되 지원 계속하겠다”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2025년 1차 정기 출자사업을 통해 총 8개, 1,298.5억원 규모의 농림수산식품펀드 운용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자사업을 통해 선정된 농식품펀드는 7개, 1,093.5억원 규모, 수산펀드 1개, 205억원 규모이다.


올해는 농식품분야에서 ‘미래혁신성장펀드’를, 수산분야에서 ‘수산유통펀드’를 처음 결성한다.


농식품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푸드테크펀드`와 `그린바이오펀드`를 통합하여 `미래혁신성장펀드`로 통합하여 운영한다.

3: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던 `미래혁신성장펀드`분야는 각각 2개 펀드, 200억원 규모로 선정되었다. 투자분야가 유사한 두 개 펀드가 통합되어 운용사의 투자처 발굴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또한, 생산·가공·소매등 산업 간 전·후방 연계 효과가 큰 유통산업에 투자하는 `수산유통펀드`를 도입한다. 위판·중간유통·판매, 이력제, 플랫폼 등 유통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수산경영체에 대한 투자를 통해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유통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청년기업의 성장단계별 육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농식품 청년기업 성장펀드`는 481억원 규모로 결성되어 창업·초기기업의 투자 활성화에 기여한다.


`창업초기(Start-up)펀드`는 창업기획자의 창업 보육·투자 등을 거친 창업 7년 이내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이번 출자사업에서 9: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80억원 규모로 결성된다.


`사업화(Step-up)펀드`는 농식품 전후방 산업에 종사하는 청년기업에 투자하며, 3.5:1의 높은 경쟁률 속에 2개 펀드가 선정되어 총 201억원 규모로 결성되게 되었다.

 


`후속투자(Scale-up)펀드`는 200억원 규모로 결성되어 펀드 투자유치 이력이 있는 청년기업에 적극 투자할 예정이다.


한편,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농업 분야와 탄소저감 분야에 투자하는 ‘스마트농업펀드’는 212.5억원 규모로 조성되어 미래 유망분야의 전략적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서해동 농금원장은 “고금리,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벤처투자시장이 위축되고 있음에도 이번 출자사업에 민간의 많은 관심이 있었던 점을 의미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농금원은 농림수산분야에 투자 활성화가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과학과 정책의 협력’... 양봉산업 위기 해결 나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한국양봉학회와 함께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제41차 한국양봉학회 하계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양봉, 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학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꿀벌 감소 문제와 이상기상, 꿀벌응애 등 병해충 피해, 수입 벌꿀 증가와 국내 벌꿀 소비 둔화 등 양봉산업과 농가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연구자, 정책기관, 산업계, 농가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수립과 연구에 필요한 농업 현장의 의견을 제안하는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 기조 강연에서는 곽경택 영화감독의 ‘영화 속 꿀벌, 환경과 생명의 메시지’와 정철의 경국대 교수의 ‘최신 양봉 연구 동향’ 발표가 있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이 우수 양봉농가와 지자체 담당자, 신규 연구자를 대상으로 최신 양봉 기술을 전수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꿀벌 우수 품종 육성 및 보급 체계, 꿀벌 병해충 특성과 양봉용 의약품 사용 기술, 디지털 양봉 관리 기술, 벌꿀 생산 우수 밀원수 특성 등을 발표했다. 둘째 날에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