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농협사료, 수입조사료 취급량 10만톤 돌파

- 가격견제와 수급조절 기능 강화...연간 30만 톤 목표로 확대
- 김경수 대표 “수입조사료는 수익창출이 아닌 축산농가 피해예방과 시장안정을 위한 농협 본연의 역할”

 

농협사료(대표이사 김경수)가 수입조사료 사업 개시 3년 만에 판매량 10만 톤을 돌파했다. 이는 2021년 수입조사료 취급을 시작한 이후 3년 만에 거둔 성과로, 쿼터제 폐지로 인한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축산농가의 안정적인 조사료 공급을 위해 꾸준히 물량을 확대해 온 결과이다.

 

수입조사료는 국내 부족한 조사료 생산량을 보완하기 위해 일정 수입량을 조절하는 쿼터제로 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쿼터제는 2024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이는 무분별한 조사료 수입으로 인한 시장 혼란과 가격 변동성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는 조사료 실수요자인 농가들에게 피해를 줄 여지가 있다.

 

농협사료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수급 조절과 가격 견제기능을 위해 조사료 취급량 확대에 매진하고 있다.

 

농협사료는 미국 현지 자회사인 NH-Hay를 통해 유리한 조건으로 건초를 구매할 수 있도록 현지 주요 업체들과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했다.

또한, 조사료 수입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호주산 연맥 구매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호주 연맥 생산 업체와의 구매계약을 체결하였다.

 

아울러, 국내 판매량 확보를 위해 2023년부터 각 지역의 낙농조합과 수입조사료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별 수급조절이 가능한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게 되었고, 조사료 취급량 확대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농협사료 김경수 대표이사는 “농협사료의 수입조사료 취급은 수익창출이 아닌 축산농가의 피해를 예방하고 시장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농협 본연의 역할”이라며, “앞으로 연간 30만 톤까지 취급량을 확대해 수입조사료 시장에서 가격 견제 역할과 수급조절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는 조합들이 농협사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협조해 주어야만 가능할 것”이라며, 수입조사료 취급 조합들의 농협사료 이용 확대를 당부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