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모돈이력제 ‘반대’ 여론 압도적으로 높아

- 한돈협회 "통제 수단이라는 인식 높아, 기대효과 공감은 단 3%에 그쳐"
- 시범 사업 불참 농가에 대한 불이익은 '행정기본법' 위반 지적
- 농장 생산성 향상 요인...모돈별 이력신고 보다 더 중요한 요인 많아
- 정책, 공감대 형성 전 농가 패널티 위주 추진되는 것도 반감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최근에 한돈앱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모돈 개체별 이력제’에 대한 전국 한돈농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430명 중 99.1%에 해당하는 426명이 모돈 이력제의 추진을 반대하였으며, 찬성은 0.9%인 단 4명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한돈농가들이 반대 이유로는 모돈 통제로 인식(120명, 33%), 기존 관리로 충분(107명, 29%), 농가 생산성 도움 안 됨(105명, 29%), 귀표 부착 번거로움(33명, 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큰 반대 이유였던 ‘모돈 통제로 인식한다’라는 답변은 그간 정부가 추진하려는 정책에 대해 민간의 신뢰를 얻고 소통을 통해 실행가능성을 확보하기 보다 법을 통한 강제성과 처벌 위주의 정책집행을 펼쳐 온 것에 대한 한돈농가들의 반발과 우려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모돈 개체별 이력제의 기대효과로 홍보하는 내용에 대해 농가들의 공감대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돈별 성적관리 가능으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농가들은 단 3%(13명)에 불과한 반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농가들은 86%(363명)로 조사되었다. 

이밖에‘모르겠다’는 응답이 11%(47명)였다. 모돈의 이동·폐사 등 정보를 매일 신고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온다는 주장에 대해 현장에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농장의 생산성 향상은 사양·시설·환경·질병 관리 등 더 중요한 요인들이 많아, 강제적 이력신고가 생산성을 높인다는 정부의 기대효과를 납득하지 못하는 농가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 ‘질병관리 강화로 출하돈 성적향상 기대된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농가들은 단 3%(9명)에 불과한 반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농가들은 88%(371명)로 조사되었다. 
이밖에 ‘모르겠다’는 응답이 11%(42명)로 나타났다. 

정부에서는 질병 등이 잘 관리되지 않은 종돈장에서 후보돈을 분양받으면 농장에 질병이 만연하거나 출하돈의 성적 저하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모돈 이력제로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종돈장에서 주기적으로 질병을 검사하고 있고, 이미 종돈 이력제를 통해 90kg 도달일령 등 검정성적이 제공되고 있어 꼭 모돈이력제여만 하는지 납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에서는 ‘모돈개체별이력제시범사업’에 대한 공감대가 낮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동 사업에 농가가 불참할 경우, 실질적으로 모돈 이력제 시범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정책사업과 연계하여 사업대상자에서 제외하거나,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없게 후순위로 하여 현장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를 두고 현장에서는 정부가 행정법의 기본원칙인 ‘부당결부금지의원칙’에 위반되는 행정행위(지침)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