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AI 발생시 해당지역만 수출 제한키로

정부의 공격적 수출 검역 협상 결과 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발표

AI 발생시 해당지역만 수출 제한키로

정부의 공격적 수출 검역 협상 결과 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발표

 

최근 국내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재발했지만 닭고기계란 등 신선식품의 베트남홍콩 수출 길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1220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다. 이 간담회 주제는 ‘AI(조류 인플루엔자)와 한국산 계란닭고기의 해외 수출,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이 주관했다.

  

이날 발제(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검역 협상)를 한 농림축산식품부 정병곤 검역정책과장은 우리나라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해도 비()발생 지역 농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계속 수출할 수 있도록 지난 10월 홍콩, 11월 베트남 당국과 검역 협상을 마쳤다그 이후인 1119일 전북 고창 오리농장에서 AI가 재발했지만 홍콩베트남 수출엔 별 차질이 없다고 말했다

 

과거엔 국내의 한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면 한국산 계란닭고기 등 신선제품 전체가 수입 금지 조치를 받았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AI가 발생하자 베트남 정부는 201611201710, 홍콩 정부는 2014521062월 한국산 계란닭고기 모두를 수입 금지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번에 베트남홍콩 당국이 한국에서 AI 등 가축 질병이 발생해도 해당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사실상 허용키로 한 것(지역화 인정)은 우리 정부(농식품부)의 수출 검역 협상의 기본 전략이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정 과장은 과거엔 정부의 검역 협상이 대개 업계 요청 후 수동적으로 나서고, 정부와 업계가 엇박자를 내는 등 수비형이었다면 요즘은 민관 합동 수요조사에 기반해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공격형으로 전환된 상태이며 “AI 등 가축 질병이 발생하면 수입 전체를 차단하는 비()관세 장벽에 대처하기 위해 시장성가능성 있는 품목 위주로 수출 길을 뚫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더라도 AI 방역대 안의 농장을 제외한 다른 농장에서 생산된 신선 닭고기는 베트남 수출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이 확인되더라도 AI ()발생 시도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신선 닭고기의 홍콩 수출, AI6개월간 발생하지 않은 농장에서 생산된 신선 닭고기의 캄보디아 수출, AI ()발생 시도 농장에서 생산된 닭 종란의 키르기스스탄 수출 길은 계속 열리게 된다

 

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농식품부의 공격적 수출 검역 협상 결과 수출 상대국과의 검역 협상 타결 품목도 20124, 20137, 201614, 201714건 등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엔 중국과 쌀삼계탕, 베트남과 딸기, 홍콩과 닭고기계란 , 브라질과 배 검역 협상이 타결됐다. 올해엔 미국과 심비디움호접란, 홍콩과 닭고기계란, 베트남과 닭고기 협상이 완료됐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