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토마토 재배지 부산에서 김해로 이동(?)

조동욱 아시아종묘 박사 “뿌리 활착과 저장성 뛰어난 ‘동유250’ 품종 추천”

토마토 재배지 부산에서 김해로 이동(?)

조동욱 아시아종묘 박사 뿌리 활착과 저장성 뛰어난 동유250’ 품종 추천

진흙땅 김해, 기존품목 토양적응성 호소

    

현재 부산시 강서구 대저동 일대는 토지개발사업 예정 지역으로 토마토 재배농가들이 김해시 화목동 등 인근지역으로 이동 중이란다. 대저동과 김해시 화목동 일대는 토양이 달라 이주지역에 적합한 토마토 품종에 대한 농가들의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주농민들은 대저동에서 재배하던 품종이 새로 정착한 곳에 적합한지에 대한 고민을 토로 중이다.

 

이에 이주농가들은 동양계와 유럽계의 장점을 고루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종묘 동유250 품종을 주목하고 있다.

토마토를 재배하는 농가입장에서 동유250의 과색이 붉고 진하면서 과육이 단단하고 수송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부분은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김해시 화목동은 진흙땅으로 이주농가들이 토마토 본격재배를 앞두고 뿌리활착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동유 250은 아시아종묘에서 2015년 첫 출시한 품종으로 뿌리활착이 강한 유럽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유250은 핑크색 완숙 토마토로 현재 시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들에 비해 핑크색이 아주 진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유250은 무한생장형 완숙토마토로 과중은 250~300g 정도이다. 과의 모양은 구형에 가깝고 특히 배꼽의 함몰이 거의 없고 꽃자리가 아주 작아 수확 후 상품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과가 단단해 열과 발생이 적은 동유250은 봄, 여름 재배에 좋으며 ToMV(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 N(선충), F2(시들음병)에 내병성이 있다.

조동욱 아시아종묘 생명공학연구소 박사는 동양 품종과 서양 품종의 장점을 취해 더 나은 품종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라며 동유250은 토마토 재배농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것이 아시아종묘의 연구력에 더해져 얻은 성과라고 말했다. 농자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곡법 등 농업 4법 방향?... "국가 책임 강화에 초점"
당(민주당 농해수 정책조정위원회)‧정(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송미령)은 6월 27일(금) 처음 열린 당정 간담회를 통해 농업 4법 등 주요 법안에 대해 논의하고, 법안별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여기 농업 4법은 양곡법, 농안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이다. ‘양곡법’과 ‘농안법’은 쌀 등 주요 농산물의 과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우선 강력한 사전적 인센티브를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작황이 너무 양호하는 등 불가피한 수급불안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과잉 물량을 매입하고 가격 하락분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현행 전략작물 전환 등을 대폭 확대하여 남는 농산물을 처분하는 ‘사후적 조치’에서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전적 수급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자는 취지이다. ‘농어업재해대책법’은 재해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생산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되, 보험가입농가와 비가입농가, 보험대상품목과 비대상품목 간 형평성을 감안하도록 하고, ‘농어업재해보험법’은 피해 회피‧예측이 어려운 일정 수준 이상의 재해에 대해서는 현행 보험료 할증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양곡법 등 농업 4법 방향?... "국가 책임 강화에 초점"
당(민주당 농해수 정책조정위원회)‧정(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송미령)은 6월 27일(금) 처음 열린 당정 간담회를 통해 농업 4법 등 주요 법안에 대해 논의하고, 법안별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여기 농업 4법은 양곡법, 농안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이다. ‘양곡법’과 ‘농안법’은 쌀 등 주요 농산물의 과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우선 강력한 사전적 인센티브를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작황이 너무 양호하는 등 불가피한 수급불안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과잉 물량을 매입하고 가격 하락분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현행 전략작물 전환 등을 대폭 확대하여 남는 농산물을 처분하는 ‘사후적 조치’에서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전적 수급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자는 취지이다. ‘농어업재해대책법’은 재해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생산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되, 보험가입농가와 비가입농가, 보험대상품목과 비대상품목 간 형평성을 감안하도록 하고, ‘농어업재해보험법’은 피해 회피‧예측이 어려운 일정 수준 이상의 재해에 대해서는 현행 보험료 할증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