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가락몰 도서관,‘길 위의 인문학’사업 선정

- 이용자들에게 인문학 강연과 탐방 및 체험활동의 기회 제공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가락몰 도서관이 '길 위의 인문학’ 사업 대상 도서관으로 선정되어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길 위의 인문학’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하는 공모사업으로, 지역 도서관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인문학 강연과 탐방 및 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한다.

 

2023년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중남미 문화에 대해 공부하는 일반 프로그램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식 동화를 읽고 글쓰기 활동을 하는 아동 프로그램이 별도로 진행된다.

 

일반 프로그램은 “중∙독: 중남미를 독(讀)서하다”라는 주제로 중남미의 특색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진 문학, 영화, 식문화 등 친숙한 주제를 통해 중남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강연과 탐방으로 구성된다. 5월부터 7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진행되며 중남미의 인문학적 가치를 탐구하고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기대된다.

 

아동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6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그림동화 속 한식 이야기”라는 주제로 5월부터 10월까지 25회의 강연과 독후활동을 포함하여 총 6차로 진행된다.

 

우리 음식을 다룬 여러 그림책을 읽고 그 작가들을 초청하여 강연을 듣는 한편 동시, 창작동화, 일기, 독후감 등 다양한 글쓰기를 경험한다.

창작물은 전문가가 지도하는 문예창작 특강을 거쳐 다듬고, 시중에 실제로 유통되는 정식 도서로 출판하여 작가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식문화 특화 도서관의 전문성을 살려 음식을 직접 만들고 먹어보는 독후활동 또한 진행할 예정이다.

 

강연은 송파구 가락시장에 위치한 가락몰 도서관 프로그램실에서 진행되며, 매 회 참가자는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