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업과학도서관’ 새 단장 마치고 문 활짝

- 다목적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 지역주민 등 모든 이용자 방문 가능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중단됐던 농업과학도서관의 외부이용자(지역주민 등) 방문이 12일부터 다시 허용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농업과학도서관의 내부 시설 일부를 책과 쉼이 함께 하는 공간으로 새 단장하고, 재개관한다고 밝혔다.

 

'사람과 정보·문화'라는 핵심 가치를 반영해 칸막이 책상이 있던 열람실을 쾌적하고 활력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세미나 또는 소규모공연이 가능한 공간, 회의와 독서 활동, 휴식이 가능한 다목적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특히 최근 새롭게 주목받는 책 추천 서비스(특정한 주제에 맞는 여러 책을 선별해 독자에게 제안)를 도입해 책 전시와 대출 서비스도 시작한다.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직접 선정한 ‘기후변화, 식량안보, 채식, 반려동물’ 등 다양한 주제어에 맞는 책을 제안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다양한 분야의 책을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농업과학도서관 방문이 가능한 시간은 월~금요일(09:00~18:00)이며, 소장자료 대출은 도서관 운영시간과 상관없이 누리집에서 무료 우편 대출 또는 책마중(무인도서 대출함) 서비스를 이용해 신청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지식정보화담당관실 이병연 과장은 “새롭게 문을 연 농업과학도서관이 직원들에게는 창의적인 연구와 업무를 지원하는 신개념의 사무실이 되고, 지역주민들에게는 독서와 휴식, 지식정보 활용이 동시에 가능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책과 사람의 향기로 가득한 곳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