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올해 쌀 생산량 전년 대비 10.7% 증가

수확기 농가의 원활한 벼 출하 지원 추진
올해 쌀 생산량은 388만 2천 톤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

11.15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금년도 쌀 생산량은 388만 2천 톤으로 전년(350만 7천 톤) 대비 10.7% 증가했다.

 

금년도는 전년 대비 벼 재배면적이 증가하였고, 당초 예상 생산량(382만 7천 톤, 522kg/10a, 10.8일 통계청 발표)은 평년작 수준이었으나, 등숙기(9.1~10.15일) 기상여건이 양호하여 예상보다 생산량이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쌀 소비감소 추세 등을 감안하면 2021년산 쌀은 수급상 여유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금년도 수확기 산지 쌀값은 작황이 좋지 않았던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농가 벼 매입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금년도 신곡 산지쌀값은 10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높은 수준이었으나, 11.5일에는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되고 있다.

11.8일 기준, 공공비축미 매입량은 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생산량이 비슷했던 ‘18년(386만 8천 톤) 대비 8.6% 증가하였다.

 

또한, 산지유통업체(RPC)의 자체 매입량도 15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0%, ’18년 대비 6.7% 증가하였다.

농식품부는 수확기 농가의 원활한 벼 출하를 지원하고, 태풍·병충해 등으로 인한 피해벼 매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RPC·DSC 등 산지유통업체가 수확기 농가에서 출하하는 벼를 매입하는데 필요한 자금 지원 규모를 당초 3.3조원(정부 1.2, 농협 2.1)에서 3.4조원(농협 1천억원 추가)으로 확대한다.

태풍‧병충해 등에 따른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중 쌀 유통 질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11.15일부터 농가가 희망하는 피해벼 물량을 전량 매입할 계획이다.

 

지자체 조사 결과, 피해벼 수매 희망물량은 총 5,082 톤(정곡 기준) 수준이며, 공공비축미 35만 톤 매입과 함께 피해벼를 매입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의 경우 제현율과 피해립 기준을 전년보다 상향하여 최대한 많은 농업인이 피해벼 매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향후 쌀값 추이 등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시장격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시 조치하여 쌀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 "민생쿠폰 사용처 '하나로마트' 포함 긴급 요청"
중요 농민단체인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하나로마트’를 포함하여, 농촌지역 체감효과 높여야 한다!는 긴급성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제2차 추경편성을 통해 총 13조원 수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이 지역화폐 사용처를 준용하여 하나로마트가 제외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농촌지역 체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민생쿠폰 사용처도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의 민생쿠폰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연매출 30억원 초과업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최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마트‧슈퍼‧편의점 유형의 가맹점이 없는 면(面)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 한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완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농촌지역 하나로마트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지침 개정의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상권이 위축되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가 많지 않은 농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민생쿠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