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산업발전법' 제정논의 더욱 가속화

- 김삼주 한우협회장 "협회를 중심으로 똘똘뭉쳐 한우산업 발전시켜 나가자" 창립 22주년 기념사에 밝혀
- “한우 후계세대에서 사육두수 증가로 인한 소값 불안상황 반복되선 안돼”
- “선제적·능동적 자율수급조절 체계구축에 뜻 모아 달라”

 

전국한우협회가 9월 14일 창립 22주년을 맞아 한우산업의 미래와 새희망의 길을 열기 위해 협회 구심점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또, 협회는 코로나19 확산의 엄중함을 고려해 창립기념식을 대신해 SNS 밴드와 유튜브 등을 통해 영상메시지를 전파했다.

이날 창립기념사에서 김삼주 회장은 “전국한우협회는 지난 22년간  숱한 위기와 변화 속에서도 현명하게 극복하며 더 큰 기회와 대도약의 전기로 삼고 성장해 왔다”며 “그 헌신과 노력의 빛을 기억하고 '온고이지신'의 정신으로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한우 후계세대에서 사육두수 증가로 인한 소값 불안 상황이 반복되선 안된다”며 “선제적·능동적 자율수급조절 체계 구축을 위해 뜻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우산업의 가치와 비전이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하는지 항상 성찰하고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충실하는 모습으로 농업·농촌의 모범이 되는 데 앞장 서겠다”고 밝혔다.

 

한우협회는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과 사회적 역할 수행이 국민이 공감하는 지속가능한 한우산업 구현의 밑거름이 된다는 인식으로 사회와의 상생협력을 넓혀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우산업이 대한민국 농업·농촌경제를 지탱하는 식량안보의 핵심으로 미래 한국 농업의 미래를 밝히기 위해 한우산업발전법 제정 논의를 더욱 가속화하기로 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