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바스프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농업인, 환경, 사회에 기여"

종자, 작물 보호 제품 및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 솔루션 추구

빈센트 그로스 사장 "75억 유로(한화 약 10조 1500억 원) 이상의 매출 기대"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가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농업을 위한 연구개발 활동을 강화해 농업인이 처한 환경·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바스프는 향후 10년간 출시 예정인 솔루션을 포함한 혁신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속가능한 솔루션의 매출 비중을 7% 이상 늘리고, 2030년까지 30개 이상의 주요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해 바스프의 광범위한 종자 및 종자 처리 제품, 화학 및 바이오 솔루션, 디지털 서비스 등의 포트폴리오를 보완할 예정이다. 이로써 75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바스프는 지난 2020년 농업 솔루션 사업부 전체 매출의 약 11%에 달하는 8억 4000만 유로(한화 약 1조 1375억 원)를 연구개발에 투자한 바 있으며, 올해도 대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바스프 농업 솔루션 사업부는 지속가능성 전략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솔루션의 연간 매출 비중을 늘릴 뿐만 아니라 농작물 생산에서의 탄소 배출량 30% 저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4억 헥타르(hectare) 이상의 농지에 디지털 농업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자사 제품이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다. 이처럼 바스프는 농산물 시스템이 더욱 좋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스프 농업 솔루션 사업부의 빈센트 그로스(Vincent Gros) 사장은 “지속가능한 농업 솔루션을 선도하고 있는 바스프는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제품과 신기술 및 서비스를 결합시켜 전 세계 소비자의 요구와 각기 다른 작물 시스템에 적합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라며, “지속가능성은 전체 연구개발 과정에 깊이 자리잡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바스프 솔루션은 농업 생산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천연자원을 보존한다”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청, 항산화 활성 높인 ‘맥아차’ 제조기술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검정색 2줄 겉보리 ‘흑호’를 이용해 항산화 효과가 높은 맥아차(발아 보리차)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출원 후 관련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국립식량과학원 맥류개발과 연구진은 ‘흑호’로 만든 맥아가 일반 보리에 비해 몸속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력이 월등히 높고, 총페놀성화합물과 프로안토시아니딘 등 건강에 이로운 생리활성 성분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맥아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맛과 색을 최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맥아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 먼저 보리를 물에 담가 충분히 불린 뒤, 14~18도(℃)에서 일정 기간 싹을 틔운다. 다음으로 싹과 뿌리를 제거하는 정리 과정을 거쳐 240~260도(℃)에서 일정 시간 볶아 풍미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뜨거운 물로 추출해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깔끔한 향미를 지닌 맥아차 제조법을 완성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기술을 특허출원해 산업체에 이전했으며, 현재 업체에서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농촌진흥청 기초식량작물부 박기도 부장은 “이번 연구는 검정 보리의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산업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항산화 활성 높인 ‘맥아차’ 제조기술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검정색 2줄 겉보리 ‘흑호’를 이용해 항산화 효과가 높은 맥아차(발아 보리차)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출원 후 관련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국립식량과학원 맥류개발과 연구진은 ‘흑호’로 만든 맥아가 일반 보리에 비해 몸속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력이 월등히 높고, 총페놀성화합물과 프로안토시아니딘 등 건강에 이로운 생리활성 성분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맥아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맛과 색을 최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맥아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 먼저 보리를 물에 담가 충분히 불린 뒤, 14~18도(℃)에서 일정 기간 싹을 틔운다. 다음으로 싹과 뿌리를 제거하는 정리 과정을 거쳐 240~260도(℃)에서 일정 시간 볶아 풍미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뜨거운 물로 추출해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깔끔한 향미를 지닌 맥아차 제조법을 완성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기술을 특허출원해 산업체에 이전했으며, 현재 업체에서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농촌진흥청 기초식량작물부 박기도 부장은 “이번 연구는 검정 보리의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산업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