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한우사육 338만두까지 끝없이 증가하나?

- "일관사육농장의 사육두수 69% 증가에 따라

사육두수 변동폭과 농가소득 변동성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

- 사육구조 변화에 따른 수급전망 결과, 2024년 한우사육두수 338만 두까지 증가

- 미·경산우 비육지원, 농가의 자발적 암소 감축, 송아지생산안정제 현실화 등 노력 필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가 발주하고 경상대학교(연구책임자 전상곤 교수)에서 연구한 ‘한우 사육구조 변화 및 수급영향 분석’ 연구 결과가 최종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한우농가 사육형태 분류에 따른 사육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우산업 수급 전망 및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가임암소와 번식우 두수를 활용하여 사육형태를 분류한 결과 번식농장 수는 전체 한우농장의 약 50%, 일관사육농장은 40%, 비육농장은 10%로 나타났으며, 사육두수 기준으로는 일관사육농장이 전체 사육두수의 약 6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육구조 변화의 주된 요인은 아래의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20두 미만 소규모 농장 감소추세 및 100두 이상 대규모 농장 증가세와 100두 이상 농장의 암소 비중 증가 및 60개월 이상 암소 보유율 상승이다.

또, 한우 송아지의 농장 간 거래 증가 및 가축시장 거래 감소와 사육두수 증가와 함께 암소 도축 시 평균 산차 상승이다.

 

이러한 사육구조 변화는 소규모 번식농가 감소로 인한 송아지 거래 감소, 규모화로 인한 사육두수 변동폭 완화와 그에 따른 농가소득 변동성 완화, 중규모 번식 농가의 송아지 번식률 향상 등의 영향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육두수 변동폭이 완화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10년 주기를 형성했던 한우(비프)사이클의 변동폭도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우산업이 과거와 비교하여 보다 안정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연구에서는 사육구조 변화를 바탕으로 수급전망도 실시하였다. 전망 결과 한우 사육두수는 2024년까지 338만 두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 이후 한우 평균 도매가격 및 송아지가격 하락으로 인해 2025년부터는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우산업 관련 전문가, 한우농가들을 대상으로 한우산업 수급안정을 위한 의견들을 조사한 결과, 선제적 수급관리(미·경산우 비육지원, 자발적 암소감축 등)와 송아지 생산안정제 현실화에 대한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연구는 사육구조 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