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약용작물' 배양묘 보급... 산업화 가속도 기대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약용작물 국내 육성품종 보급에 앞장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 이하 재단)은 근래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약용작물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약용작물 종자(종묘, 종근) 보급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약용작물은 주로 한약재원료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약 70% 이상이 식품과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할 정도로 그 용도가 다양화 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약용작물은 수입의존도가 높아 국내 종자보급률이 20%대에 머물고 있어 약용작물의 종자 생산 및 보급 체계 구축과 고품질 약용작물(국내육성)을 보급하는 게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재단은 산업적 활용도 및 수입의존도가 높은 약용작물을 대상으로 시장경쟁력이 있는 신품종을 발굴하고 신속한 종자 보급을 위해 ‘약용작물 원종 보급사업’을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개년 중장기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

 

재단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약용작물 중 지황 ‘토강’ 원종 배양묘 544천주와 보급종 종근 14.8톤을 29.6ha에 보급하였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한 보급량으로 ‘약용작물 원종 보급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약용작물은 육종연한이 길고 종자생산이 어려우며 영양체번식을 하는 경우 특성의 퇴화와 병해충 감염에 의한 생산량 감소 등의 문제점이 많아 재배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단은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연구기관(농촌진흥청 등 품성육성기관)의 신품종을 대량증식하고, 원종 조직배양묘 형태로 6개 권역별 약용작물종자보급센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로 보급하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황, 천궁, 마 등 영양 번식하는 약용작물에서 잎이 누렇게 변하는 증상이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병징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잎에 노란 반점이나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종근을 사용하는 지황과 같은 약용작물의 경우 무병묘로 생산된 무병종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이다. 

 

재단은 약용작물 중 지황, 단삼 종묘·종근을 보급하고 있으며,더 나아가 생장점배양을 통한 지황 바이러스 무병라인 구축과 산업체 수요가 많은 신규작물 발굴을 통해 대상작물을 삽주, 인삼, 작약 등으로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제약회사 등 산업체 참여를 유도·연계하여 약용작물 산업 활성화를 좀 더 현실성 있게 반영할 계획이다.

 

재단 박철웅 이사장은 “앞으로도 지황 뿐 아니라 새로운 약용작물 신품종을 조직배양 기술로 생산·보급하여 2027년까지는 국내 약용작물 종자보급률을 30%까지 끌어올릴 계획” 이라면서,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 국민 건강에도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