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잇따른 고병원성 'AI검출'... 차단방역 총력 기울이자!

한국토종닭협회, 조류인플루엔자 방역에 총력 당부
"AI 발생 상황에 선제적인 대응 필요"

(사)한국토종닭협회는 지난 10월 1일부터 협회 내 AI상황실을 설치하여 회원 농가의 질병 동향 조사와 정부의 방역지침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 철새도래지(천안 봉강천, 용인 청미천, 천안 병천천, 이천 복하천, 제주 하도리)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검출됨에 따라 방역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정부에서는 해외 AI 발생, 철새 도래상황, 국내 AI 발생시기를 고려하여 특별방역대책기간 이전인 9월부터 방역 대책을 추진했다. 이에 협회는 토종닭 사육농가, 가축거래상인, 계열화사업자 등 토종닭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방사사육 금지, 농장주변 소독 철저, 생석회 벨트 구축’등 정부의 방역조치 사항을 공유하고 이행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매일 전화예찰을 통한 농가 소독여부 확인 및 임상 관찰과 비상연락망을 활용하여 AI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파하고 있다. 특히 방사를 하는 회원 농가들을 대상으로 방사 자제 등을 요청하며 질병 확산 차단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토종닭 업계는 지난 6월부터 전통시장 등에서 저병원성 AI(H9N2)가 지속 검출되어 빠른 방역 태세에 돌입했다. 먼저 지난 10월 21일 청주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충청북도 관계자, 육거리시장 산닭 판매점 종사자 및 가축거래상인이 모였고, 10월 28일 광주에서 광주광역시와 농림축산검역본부 및 광주·전남 소재 가축거래상인이 모여 정부의 방역지침을 전달했다.

 

또한 11월 25일 일제 휴업·소독의 날에는 대구 소재 칠성시장 가축거래상인을 모범적으로 방역을 추진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소재 전통시장으로 초대하여 산닭 판매점이 이행해야 할 방역 수칙을 전파했다. 특히 가금판매소의 휴업·소독 이행은 물론 신발소독조 및 손소독제 사용과 주변 출입구 소독을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사)한국토종닭협회 문정진 회장은 “야생조류에서 잇따른 고병원성 AI 검출로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이자”고 하며, “토종닭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두 힘 써 달라”고 당부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과학과 정책의 협력’... 양봉산업 위기 해결 나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한국양봉학회와 함께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제41차 한국양봉학회 하계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양봉, 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학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꿀벌 감소 문제와 이상기상, 꿀벌응애 등 병해충 피해, 수입 벌꿀 증가와 국내 벌꿀 소비 둔화 등 양봉산업과 농가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연구자, 정책기관, 산업계, 농가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수립과 연구에 필요한 농업 현장의 의견을 제안하는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 기조 강연에서는 곽경택 영화감독의 ‘영화 속 꿀벌, 환경과 생명의 메시지’와 정철의 경국대 교수의 ‘최신 양봉 연구 동향’ 발표가 있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이 우수 양봉농가와 지자체 담당자, 신규 연구자를 대상으로 최신 양봉 기술을 전수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꿀벌 우수 품종 육성 및 보급 체계, 꿀벌 병해충 특성과 양봉용 의약품 사용 기술, 디지털 양봉 관리 기술, 벌꿀 생산 우수 밀원수 특성 등을 발표했다. 둘째 날에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