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귀농·귀촌

귀농‧귀촌 ‘귀농닥터’와 함께!

농정원, 현장밀착형 귀농닥터 비대면 멘토링 서비스 시범운영
귀농귀촌 진입자, 초기 애로사항 해결‧안정적 정착 위해 지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현장밀착형 귀농닥터 비대면 멘토링 서비스’를 시범운영 한다고 밝혔다.

 

현장밀착형 귀농닥터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귀농닥터와 교육생을 매칭하여 멘토링을 제공하는 컨설팅 서비스로 귀농귀촌 진입자들의 초기 애로사항 해결과 안정적 정착을 위해 농정원에서 지원하며

 

기존에는 오프라인으로만 진행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접촉을 최소화하고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2020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개최기간 동안 온라인 서비스를 시범 제공한다.

 

이번 비대면 멘토링 서비스는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웹엑스(Webex)’를 통해 모바일 또는 웹에서 온라인 화상으로 이뤄지며 오프라인 서비스와 동일한 수준의 상담이 진행이 진행된다.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 및 농촌거주 1년 미만인 자이면 누구나 참여할 할 수 있으며 비대면 멘토링 이후 오프라인 멘토링 서비스로 연계하여 추가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

 

희망자는 21일부터 27일까지 멘토링사이트에서 원하는 귀농닥터(멘토)를 선택하여 신청하고 정해진 일자에 안내받은 URL로 접속하여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 또는 종합상담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신명식 원장은 “코로나19 확산 장기화로 인해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정보에 소외되지 않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귀농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각화된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