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여름에 강한 '아시아종묘 수박' 호평 잇따라

아시아종묘, 한여름 상품성 높은 ‘여름엔’...먹기 편한 ‘뉴꼬꼬마’ 품종 재배 확대

매해 이어지고 있는 폭염으로 수박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1인 가구 증가(2018년 1인 가구 수는 584만 가구(통계청)로 전체 가구 수의 29%)로 수박 소비 형태도 함께 변하고 있다. 

 

이에 재배자 입장에서는 더운 여름에도 우수한 상품성을 갖추고 소비자는 크기가 작으면서 먹기 편한 수박 품종을 더욱 선호하게 됐다. 

 

따라서 시장의 흐름을 반영해 2020년부터 아시아종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고 재배자(농가)도 소득 증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여름엔’과 소과종 수박인 ‘뉴꼬꼬마’를 선보였다.

◇열과에 강해 재배지 선호도가 높은 아시아종묘 ‘여름엔’ 수박

 

보통 한여름에 재배되는 수박은 품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나 ‘여름엔’ 수박은 한여름에도 비대력이 좋고 상품이 우수한 품종이다. 특히 강원도 양구군에서 재배된 ‘여름엔’ 수박은 2018년, 2019년 가락시장에서 연속 최고 시세를 기록했다. 

 

이런 이점으로 양구군 외에도 여름엔 수박은 해발 400m 준고랭지인 경북 봉화군, 전북 진안군 및 충청남도 충청북도에서도 최근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소과종 수박은 이미 큰 수박에만 익숙하던 소비자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주고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도 매우 적은 편리함으로 주목받았다. 

 

최근 ‘애플수박’은 미니수박으로 둥근 형태의 앙증맞고 작은 크기로 소비시장에서 큰 관심과 사랑에 인기몰이 중이나 기존 수박보다 당도가 다소 낮고 공중재배(덕 재배)를 필요로 하는 힘든 재배 방식이 단점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시아종묘는 애플수박보다 수박 크기는 비슷하면서 재배는 쉽고 당도가 높은 ‘뉴꼬꼬마’ 품종을 재배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뉴꼬꼬마는 복수박 계통을 개량한 품종으로 기존 복수박의 장점을 이어가면서 열과가 심한 단점은 보완해 저장성과 수송성이 좋아 유통상인 및 재배 농가의 호평을 받아 2018년부터 매해 꾸준히 전국적으로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뉴꼬꼬마’ 수박

 

이처럼 국내 수박 소비성향을 반영해 아시아종묘는 2020년부터 더욱 다양한 소과종 품종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제육종연구소 박과육종팀 박상빈 전무는 ‘그 동안 우리나라도 다양한 컬러수박과 소과종 수박 시대가 올 것을 10년전부터 예상하고 품종개발 준비를 해왔다’며 ‘이제 그 간의 노력이 조금씩 빛을 보는 것 같아 기쁘다. 

 

앞으로도 재배가 쉽고 소득에 도움되는 품종을 농가에 보급해 소비자에게는 달콤하면서 먹기 편한 품종들을 선보이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밝혔다.

 

전국 여러 지역 소과종 수박 품평회에서 주목받은 흑피적육 ‘뉴블랙루비’와 망고처럼 노란 속으로 블랙망고로 불리는 ‘블랙허니’ 등이 농가 호평에 힘입어 올해도 활발히 생산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블랙허니는 지난해 전북 부안군, 경북 칠곡군에서 높은 생산량을 기록한 바 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 발표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지난 3일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했다. 농협경제지주는 농협쌀 경쟁력 강화 및 우수 브랜드 육성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평가를 통해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하고 있으며, 전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쌀 브랜드 중 매출액 10억 원 이상, 단일 품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대상이 된다. 농협은 공정성을 위해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는 판매처에서 시료를 직접 구입해 평가를 진행했다. 농협식품R&D연구소가 수분·단백질·완전립 등 11개 항목에 대해 품종 및 품위평가를 1차로 실시한 뒤 한국식품연구원의 식미평가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위는 강원 횡성어사품조합공동사업법인의 ‘횡성쌀 어사진미’가 차지하였다. 어사진미는‘임금님이 하사하신 진귀한 쌀’이라는 의미처럼 남한강 최상류인 섬강의 깨끗한 물과 청정한 토양에서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단백질 함량으로 밥맛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2위부터 8위에는 ▲충남 해나루쌀(당진해나루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전남 한눈에반한쌀(옥천농협) ▲경기 임금님표 이천쌀(이천농협) ▲충북 왕의밥상 특등급(청원생명쌀조합공동사업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