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롯데마트 비난쇄도... 돈육납품업체 ‘갑질피해’ 과징금 411억 부과

김종회 의원 ‘역할론’ 화제 공정위, 롯데마트 부당행위 시정명령 이끌어 내
원가이하 삼겹살 납품 강요한 롯데마트에 과징금 411억 8500만원 부과
김의원, 판촉비용 부당 전가 등 롯데 갑질행태 17년 국감에서 최초 문제제기

전북지역 중소 돈육가공업체가 롯데마트로부터 수백억대의 갑질 피해를 당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극적으로 구제를 받은 가운데 국회 김종회의원의 ‘역할론’이 화제다. 

돈육 납품업체에 부당한 갑질행위를 한 롯데마트가 시정조치와 함께 과징금 411억 8500만원 이라는 엄중한 제재를 받는 등  ‘수퍼 갑의 패배’를 이끌어 낸 도화선은 김의원이라는 것이다.

 

21일 국회 김종회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전북 김제·부안)에 따르면 사건의 발단은 3년간 롯데마트에 돼지고기를 납품해온 유통업체 신화(전북소재)가 롯데마트 측으로부터 ▲자체 할인행사를 위해 원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삼겹살 납품을 강요 ▲납품단가 후려치기 ▲물류비, 판촉비 전가 등의 피해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2015년 11월 공정위에 신고한 날부터 시작됐다.

 

신고를 받은 공정위는 롯데마트 측에 48억1700만원을 신화에 지급하라고 결정했으나 롯데마트 측은 결과에 불복했고 공정위는 재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1년 5개월 이라는 장기간의 재조사 이후에도 공정위는 롯데마트와 관련한 제재여부와 수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재심사 결론을 내리면서 사건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공정위가 갈팡질팡한 모습을 보이자 김의원은 2017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롯데마트의 갑질행태를 최초로 제기하며 농림부의 강력한 개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당시 김영록 전 농림부장관에게 “공정위의 ‘재심사’ 결론은 시간 끌기를 위한 결정으로, 자본력이 취약한 업체는 스스로 지쳐 쓰러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사건 해결의 주체는 공정위이지만 농식품부가 이 일을 ‘강 건너 불구경’식으로 일관해선 안 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국민의 먹거리가 위협받고 대기업에 의해 영세업자가 파산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부처간 영역을 논하는 것은 직무유기에 해당한다”며 “문제가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공정위 등 관계기관간 공조체제를 구축하라”고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김 의원의 국감질의를 통해 ‘롯데마트의 갑질’은 수면위로 다시 부상하는 등 전 국민적 이슈로 떠 올랐고 국민적 관심과 재벌기업의 부당행위에 대한 분노가 공정위의 강력한 제재를 이끌어 내는 원동력이 됐다는 것이 업계와 정관가의 해석이다.

 

이와관련 김종회 의원은 “늦은감이 있지만 공정위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사회적으로 갑질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국회 농해수위 의원으로서 농어업과 축산업계에 종사하는 영세한 업체들의 갑질피해를 적극적으로 찾아 구제하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