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협 경제사업 활성화 '지지부진'

농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으로 정부 예산  8,774억 원 지원 받았지만 집행률은 68.6%에 그쳐!  

농협, ’12년 사업구조개편 과정에서 추진한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  4조 9,592억 원 중 3조 4,004억 원만 집행
육계계열화 사업의 경우 1,100억 원 투자계획 세웠지만, 지금까지 1원도 투자하지 않아
'판매농협’ 지향하며 산지 출하물량 50% 책임판매 약속, 하지만 30%에도 못 미쳐

농협중앙회가 지난 2012년 사업구조개편을 통해 5조원의 농업금융채권을 발행해 정부로부터 이자 지원을 받으며, 2020년까지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세웠지만 집행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로 활동하고 있는 정운천 의원(전북 전주시을)이 농협중앙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은 2020년까지 4조 9,592억 원 규모의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세웠지만, 작년까지 3조 4,004억 원 밖에 투자하지 못해 집행률이 68.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 중 투자 부진사업을 살펴보면, ‘양곡사업 활성화 사업’은 당초 투자계획은 5,396억 원이었으나, 실제로는 2,230억 원만 투자되어 집행률이 41.3%에 그쳤고, ‘계란유통구조 개선 사업’의 경우 732억 원 투자계획 중 150억 원만 투자되어 20.5%의 집행률로 나타났다. 

특히, 종축부터 도축·가공 및 소비지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고자 한 ‘육계계열화사업’의 경우 1,100억 원의 투자계획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1원도 투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개편은 농협이 신용사업의 비중을 낮추고 경제사업을 활성화 하겠다는 목표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농협은 농업금융채권 5조원을 발행했고, 정부는 여기에 대한 이자비용을 지원했다.    

 

이 당시 농협중앙회는 농업인에게 실익을 주는 ‘판매농협’ 구현을 목표로 산지 농·축협 출하물량 50% 이상을 경제지주가 책임 판매 하겠다는 계획도 세웠지만, 이 또한 내년도 목표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중앙회는 2020년까지 원예의 책임판매 비중은 39%, 양곡은 59%, 축산은 64%까지 높이기로 했지만, 작년 기준 원예는 25.2%, 양곡은 38.4%, 축산은 29.4%로 전체 경제지주 책임 판매는 29.3%에 머물러 있어 내년도 목표인 50% 달성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운천 의원은 “농협의 사업구조개편 당시 경제사업 강화를 위한 ‘판매농협’을 지향하며 우여곡절 끝에 시작됐지만, 투자계획에 따른 사업 집행률과 약속한 산지 출하물량 책임판매 실적이 너무 저조해 내년도 목표 달성은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어려운 농가현실을 생각했을 때 농협은 하루빨리 기존의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재점검해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 "민생쿠폰 사용처 '하나로마트' 포함 긴급 요청"
중요 농민단체인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하나로마트’를 포함하여, 농촌지역 체감효과 높여야 한다!는 긴급성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제2차 추경편성을 통해 총 13조원 수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이 지역화폐 사용처를 준용하여 하나로마트가 제외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농촌지역 체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민생쿠폰 사용처도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의 민생쿠폰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연매출 30억원 초과업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최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마트‧슈퍼‧편의점 유형의 가맹점이 없는 면(面)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 한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완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농촌지역 하나로마트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지침 개정의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상권이 위축되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가 많지 않은 농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민생쿠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