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곡류 내 곰팡이독소 저감화 가공기술 개발

곡류를 이용한 영유아 및 고령친화식품(퓌레, 죽 등) 등에 활용 기대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이사장 윤태진)는 ‘해외공동기술개발과제’를 통해 “곡류 내 곰팡이독소 저감화 가공기술 개발 및 파일럿생산 적용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원센터는 지난 3년간 곡류에서 발생하는 오크라톡신A(Ochratoxin A, OTA) 저감화를 위한 연구를 지원해 왔다.

이번 연구는 단순한 학술목적이 아닌 현장적용이 가능한 가공기술 개발을 목표로 고려대학교와 동원홈푸드가 미국 아이다호 주립대학교와 국제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수행되었다.

 

OTA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로 인축 모두에 급성 또는 만성질병이나 생리작용 이상을 유발하는 발암성물질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UN식량농업구기(FAO)에서는 식품 안전성에 있어서 식품첨가물이나 잔류농약보다 곰팡이독소의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탄수화물이 풍부한 곡류는 곰팡이가 가장 흔히 오염되는 식품군이며  곰팡이에 의해 생성되는 곰팡이독소는 비교적 열에 안정하여 일단 오염되면 가공 후에도 소실되지 않고 잔존한다.

특히, OTA는 견과류, 곡류, 과실, 커피빈 등의 농산물뿐만 아니라 우유를 비롯한 육가공품, 와인, 맥주 등의 가공식품에서도 검출이 되며, 식품군에 따라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p.)나 페니실리움속(Penicillium spp.) 같이 서로 다른 속의 곰팡이로부터 생성되어 광범위한 생육환경 및 식품군에서 발견되는 매우 특이한 곰팡이독소이다.

 

국내의 경우 사전검사를 통해 기준치 이상의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원료는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곰팡이 독소는 동일한 생산품 내에서도 불규칙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샘플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고려대학교 이광원 교수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가공기술을 이용한 OTA 저감화’ 특허출원(3건)이 완료되었다.”, “또 식품안전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에 4건의 논문을 게재하고  독성분야 세계적 권위 학회 등에서 6건의 학술발표를 통하여 해당 연구결과의 우수성 세계적으로 알리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윤태진 지원센터 이사장은 “장기적으로 지원한 연구사업의 성과가 우수하여 매우 기쁘다.”며 “곰팡이독소가 전 세계적인 식품안전성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곡류를 주원료로 하는 영유아식품 및 고령친화식품에 해당 가공기술을 우선 적용시킴으로서 곡류가공품에 대한 안전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