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은 ‘서울우유 유기농우유’ 제품이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고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시행하는 것으로, 서울우유에 유기농원유를 공급하는 농가들이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서울우유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축산업 조성을 통한 ESG 경영에 따른 행보로, 소비자의 탄소중립 실천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도는 탄소감축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10% 이상 줄인 농장을 대상으로 부여되며, 소비자에게는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친환경 축산물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서울우유 유기농우유’는 강원도 철원의 청정 자연 속에서 유기농 목초와 사료를 먹고 자란 젖소의 원유로 만들어진 프리미엄 제품으로 ▲유기농우유 2.3L ▲유기농우유 700ml ▲유기농멸균 200ml ▲유기농멸균 120ml ▲유기농딸기멸균 200ml ▲유기농초코멸균 200ml 등 총 6종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우유마케팅팀 이승욱 팀장은 “이번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서울우유가 오랜 기간 실천해온 친환경 생산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환경과 소비자의
팜스코는 양돈 농가를 상대로 ‘양돈 필드데이’를 가졌다.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 S1본부는 최근 ‘양돈 필드데이’를 포천 산정호수 한화리조트에서 성황리에 개최해 팜스코 자체 기술력과 가치를 직접 경험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팜스코 양돈 필드데이 행사에서 S1본부 김영훈 양돈팀장은 “저탄소 축산물 인증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기 때문에 사료요구율 FCR 개선이 탄소중립의 첫걸음”이라며,“팜스코 사료가 탄소저감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돈 필드데이에서 김광문 지역부장도 “정책 변화에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결국 살아남는 길은 생산성 향상”이라며, “FCR 0.1 개선은 사료비 24원의 가치”라고 생산성 향상을 강조했다. 한편, 팜스코는 이번 한돈 필드데이에 한탄강스마트팜과 도현농장의 ‘리더맥스 GT 마스터 시리즈’ 사료를 통해 25kg~116kg 비육 FCR 2.86이라는 우수한 성적기록의 노하우를 소개하기도 해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