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인/터/뷰】 이승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장 “난방비는 농가 소득 감소의 중요 원인 중 하나로 손 꼽혀” - 유사 사례는 없는지? 있다면 그 시스템과 차이점은? 온실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없습니다. 비슷한 사례를 꼽자면 2019부터 2022년까지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사업으로 실시한 ‘에너지 진단 컨설팅 사업’이 있습니다. 이 사업은 에너지 전문가가 직접 농가를 방문해서 열화상 카메라 등의 에너지 진단 장비를 활용해 일회성으로 알려주는 것이었습니다.▶본지 온라인 인터넷신문 2월 24일자 보도 참조 시스템은 전문가 컨설팅 없이 실시간 원격 계측이 가능하며, 농업인이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확인해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농업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은 없는지? 스마트폰을 사용할 줄 아는 농업인이라면 큰 어려움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했습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에너지 소비량 정보들은 농가 현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마트폰을 통해서 농업인들이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제공됩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마트폰처럼 터치스크린 타입이라서 그래프를 터치하면 화면이 커지기도 하고 자세한 수치도 볼 수 있으며,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온실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실시간 점검(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젬스(GEMS)’를 개발하고 농가 현장에서 실증 시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설원예는 작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재배하는 방식으로 온도, 습도와 광 환경을 조절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든다. 특히 경영비의 20% 이상을 차지해 농가에 부담이 되는 겨울철 난방비는 농가 소득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과학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에 개발한 젬스는 에너지 측정 장비, 화면 표시 장치, 통신장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전기는 전력측정기, 기름은 기름탱크 수위 감지기를 이용해 소비량을 측정한다. 연중 에너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난방뿐만 아니라 냉방 에너지 측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한 에너지 소비량은 웹 서버에 저장된 후 다양한 그래프로 정리돼 농업인에 제공된다. 농업인들은 농가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등으로 온실 에너지 소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도 단순하게 구성해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젬스가 제공하는 정보는 ∆설비별 당일 실시간 누적 에너지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