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9일 ‘정보보호의 날(매년 7월 둘째주 수요일)’을 맞아 범농협 차원의 정보보호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범농협 임직원의 정보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농협중앙회와 농협경제지주, 농협하나로유통, 농협금융지주, NH농협은행, NH농협생명, NH농협손해보험, NH투자증권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준섭 농협중앙회 부회장과 여영현 상호금융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임직원들이 참석해 출근시간대 임직원들 대상으로 정보보호 실천수칙 리플렛과 홍보물을 전달하며 일상 업무 속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알렸다. 지준섭 농협중앙회 부회장은 “최근 여러 정보보호 사고를 통해 정보보호가 기업의 존폐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다시금 실감했다.”며 “고객과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이 될 수 있도록 부회장으로서 앞장서서 정보보호를 실천하겠다”고 말하며 임직원들도 이에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농협이 기후 위기에 대응을 위한 그린뉴딜 투자지원 계획을 세우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석탄발전 사업에 큰돈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민주당, 제주 서귀포)에 따르면, 농협금융지주는 지난 8월 '녹색사업단'을 신설하고 그린뉴딜 투자지원 계획으로 2025년까지 친환경‧저탄소 전환, 농산업 기업 지원 등 총 12조원의 투자‧융자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정작 농협은행의 투자는 석탄 부분에 집중돼 그린뉴딜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 공적 금융기관들이 앞장서서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부응하는 것과도 상반된다. 농협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농협중앙회 상호금융이 석탄발전회사에 2007년부터 현재까지 총 1조 9,677억원의 회사채를 매입했다. 투자약정 금액은 농협생명 8,160억원, 농협손해 1,900억원, 농협은행 4,085억원 등 총 1조4,145억원에 달한다. 회사채 매입액과 투자약정금액을 합치면 3조3,822억원에 달한다. 2019년에 기후관련 단체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액수가 더 늘어난다. 2008년부터 2018년 8월까지 '국내 주요 공적 금융기관의 석탄화력 금융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