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에 이어 그동안 가축질병이 발생 할 때마다 차단방역을 가장 중시해 왔다. 하지만 이번에도 차단방역은 실패했다. 긴 설명이 필요 없이 발생지역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 부안에서 3건, 고창2건, 정읍과 김제 등 전북지역에서 7건, 영암 3건, 나주와 해남 및 영광까지 전남지역에서 6건이 발생됐다. 또 천안 2건, 부여, 청양, 논산 등 충남지역이 5건 발생됐고 진천 3건, 음성 2건 등 충북지역은 5건이고 화성2건, 평택, 안성, 밀양, 세종지역까지 합치면 총 29건이 양성으로 밝혀진 것이다. 이들 신고지역 외에 예방적인 살처분과 역학농가에 대한 AI검사결과에서는 202건의 양성반응이 나와 5월 25일 기준으로 520호 농가에서 닭 1천 3만마리, 오리 305만 4천마리, 기타 78만 7천마리(총 1천 387만 2천마리)가 살처분 됐다. 해안과 강원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AI가 발생이 됐고질병발생 지속기간도 어느 때 보다 길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에 AI가 발생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와 농가에 대한 지원된 직접적인 비용은 607억원이다. 국비는 5월 23일 기준으로 농식품부 가축방역지원비 240억원, 안행부 특별
허~허! “AI 아직도 끝나지 않았나요?” 필자가 금융인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나눈 인사가 섞인 대화 한 대목이다. 아마도 되물음은 아닌 것 같고, 다소 한심 스러움이 뒤섞여든 안타깝다는 말로 다가왔다. 그도 그럴만한 게 독감이라는 것은 한겨울 엄동설한 추위 속에나 있을 법한 일이인데, 최근 불과 몇일전까지 AI로 의심되는 농장의 신고가 있었으니 이들 대화를 탓할 노릇만은 아닌 것 같다. 5월 23일에도 오리농가에서 양성반응이 발생하는 등 여전히 진행중이다. 이번 AI는 지난 1월 16일 전북 고창에서 최초 발생된 이후에 H5N8형 AI 의심 증상은 전국적으로 35건이 접수돼 29건이 심각한 양성반응을 일으켜 관계자들을 크게 놀라게 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6월말이나 7월초에는 AI종식 선언을 한다니 더 준비할게 많아졌다. AI가 발생되면서 닭고기 소비불황으로 이어지면서 양계 생산농가는 물론 소비지 시장까지 적지 않은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농가에 직접 지원되는 607억원을 포함한 경제적 피해규모는 아마도 수천억원이 훌쩍 뒤어 넘을 법하다. 2010년말 경북 안동지역에서 시작된 구제역으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규모가 10조원에 달했다는 보고가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