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원예특작 신기술 보급 속도 낸다

- ‘햇빛차단망 보급’, ‘무인 방제시설 구축’ 등 8개 사업 추진
- 효과 높은 기술 제때 현장 보급, 피해 예방 총력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고온기에 발생하는 원예특용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8개 신기술보급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경북 의성군, 충북 충주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등 97개 지역에서 80억 원 규모로, 고온 피해 대응 5개 사업, 병해충 방제 3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고온 피해 대응 사업 중 ‘기후변화 대응 다목적 햇빛차단망 보급 시범사업’은 노지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과일 햇볕데임(일소) 피해를 막기 위한 것으로, 15개 지역에 15억 원을 들여 추진한다.

 

이 기술은 별도의 기둥 없이 버팀대(지주시설)를 연장해 다목적 햇빛차단망을 설치하는 것으로, 푸른색의 촘촘한(가로세로 5mm) 망이 여름철 열매 데임을 막고 과수원 안 온도를 3도(℃) 정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새가 열매를 쪼아먹는 조류 피해도 예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이 최근 3년 동안 29개 지역에 햇빛차단망을 보급한 결과, 설치 농가는 인근 일반 농가보다 상품성이 우수한 과일 생산 비율(상품과율)이 11.6% 높았고, 수확량은 10.4%, 소득도 16.6% 높게 나타났다.

 

시설 내 고온 피해를 줄이기 위한 ‘이상고온 대응 시설채소 안정생산 종합기술 시범사업’은 25개 지역에서 25억 원을 들여 추진한다.

안개분무(포그) 시스템과 유동 팬 등을 활용해 온실을 관리하면 빛 차단(차광) 없이 온실 내부 온도를 32도(℃) 정도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병해충 방제를 위해서는 ‘무인 방제 활용 과수 종합관리기술 구축 시범사업’을 경기도 안성, 가평 등 9개 지역에서 9억 원 규모로 진행한다.

 

과수원 기둥에 약제 뿜는 장치(노즐)를 고정해 쓰는 무인 방제 기술은 사람 없이도 원격으로 방제할 수 있어 사고와 유해 물질 흡입으로부터 농업인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장선화 과장은 “고온기 대응 기술이 원예특용작물 현장에 제때 보급되도록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는 한편, 기술 적용 효과를 확산해 이상기상으로 인한 작물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